이코스타 2003년 1월호



언젠가 이코스타 에 “다양성에 대한 이해”라는 글을 투고 한 적이 있다. 서로 다르기 때문에 우리 자신도 모르게 갖는 편견 의식과 이에 대한 성경적인 관점을 다루었다. 우리 사회에 소외 되는 이웃들이 있는 이유 중에 하나가 바로 이 “인간의 다양성”에 대한 이해 부족이라고 생각하는데, 특히 한국 사람들의 삶에 뿌리 내린 유교 적인 문화와 전통 때문에 서양 사람들 보다 그 이해가 더 부족하다고 생각한다.


미국에 와서 공부하고 있는 한국 유학생들 역시 예외는 아닌 것 같다고 본다. 더군다나 대부분의 유학생들은 가정 형편이 넉넉하고 학업에 열중하다 보니 흔히 소외된 이웃들에게 관심과 사랑을 보이는 일에 게을러 지기가 쉬울 수 있다. 그래서 앞으로 여러 차례에 걸쳐 어려운 환경에서 살고 있는 소외 된 이웃들을 주제로 한 글을 연재하려고 한다.


학교 졸업 후 장애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는지 어느덧 5 년 째, 아무것도 모르고 단지 교육학에서 배운 내용만을 가지고 현실에 뛰어든 나의 교사 생활 첫 해는 너무나 견디기 힘든 시간들이었다. 공부 하는 동안 여러 가지 교생 실습을 통해서 미국의 공립 학교가 어떠한 곳이고 또 장애 아이들이 있는 특수 학급이 어떤 곳인지 대충은 알고 있었다. 내가 실습을 나가면 언제나 담당 교사가 함께 나와 있었기 때문에 별로 큰 문제는 없었고 모든 학생들이 그렇듯이 나 역시 아무런 생각 없이 졸업 하는 데만 신경을 썼을 뿐이다.


처음 내가 맡은 학급은 주로 4 학년과 5 학년의 학습, 정서, 그리고 정신 지체를 가진 학생들이었다. 서양의 아이들이라서 그런지 비록 4, 5 학년 아이들이지만 키도 나 보다 크고 덩치도 크며 장애가 있는 지라 성격들도 일반 4, 5 학년 아이들에 비해 많이 달랐다. 더군다나 동양인 교사이기 때문에 얼른 아이들과 친해지기는 그렇게 쉽지가 않았던 것 같았다.


아무튼, 이런 아이들을 처음 만나서 수업을 하는데, 세상에! 혼자서 그 아이들을 다루는 데는 내가 너무 부족했다. 첫째, 한국에서 초등학교를 다닌 나로 써는 문화와 관습에서 오는 차이 때문에 대부분의 미국 학생들을 이해하기가 매우 힘들었다. 그들은 자기 주장이 강했고 하고 싶은 말이 있으면 나이에 상관 없이 이야기 했으며 자기가 하고자 하는 일을 이루기 위해서는 어떤 좋고 나쁜 행동을 해서라도 행동하고 말았다. 예를 들어 우리 한국 어린이들은 아니 요즘은 많이 달라 졌다고는 하지만 내가 자랄 때만 해도 유교적인 사상 때문에 어른 공경이 우선 인지라 자기 주장을 내세우거나 하고 싶은 말이 있어도 때와 장소를 가렸으며 한 번 안 된다고 하면 안 되는 줄로 알았는데, 내가 가르치는 학생들은 그렇지 못 했다.


학부 과정에서 특수 교육의 정신 지체를 공부한 나는 학습 및 정서 장애에 대한 기본 적인 지식 외에 전문 지식이 부족 했기 때문에 그들을 지도할 때 많은 어려움들이 있었다. 특히 그들이 갖고 있는 장애에 대한 이해와 교육 방법이 부족했기 때문에 효과적인 수업이나 부모님들과의 상담이 이루어 질 수 없었다. 예를 들어 정신 지체 학생들에게 맞는 교육 방법이 학습 장애나 정서 장애를 갖고 있는 학생들에게 적용 했을 때 아무리 특수 교육의 일부라도 효과적이지 못 할 때가 많이 있었다. 자기의 능력에 맞게 효과적인 교육 효과를 보지 못 한 아이들은 학습 능률이 오르지 않았고 집중력이 약해서 딴 짓만 했으며 다른 친구들과 장난을 치고 심지어는 수업 까지 방해를 놓을 정도 일 때도 있었다. 하고자 하는 의욕 보다는 쉽게 낙심하고 포기하기를 좋아했으며 노력 보다는 공짜로 무언가를 얻기를 바라곤 했다. 그래서 학습 장애와 정서 장에에 대한 공부를 해서 다시 라이센스를 받았다. (참고: 조지아에서 교사 자격증 취득 시 자기가 전공하지 않는 분야를 가르치게 될 경우 3년 안에 그 분야에 대한 공부를 하고 다시 라이센스를 받아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아이들의 장애가 다르듯이 그들의 학부모님들 역시 한국 부모님들에 비해 많은 차이가 있었다. 한국에서 한 번도 가정 문제나 불화를 겪어 보지 않고 자란 나로 써는 나의 학생들의 부모님들과 그들의 가정을 이해하는데 너무나 힘들었다.. 그래서 현대 사회에 극심해 져가는 미국의 가정 문제들을 배우고자 Family service (family therapy)을 공부하게 된 것이다. 이 학문을 공부하면서 인간의 성장 및 발달 과정을 비롯해서 현대 가정이 갖고 있는 문제점과 해결책, 그리고 다양성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다양한 사람들과의 대인 관계에 대해서 배우게 되었다.


무조건 공부만 마치면 내가 일 하고 있는 분야에서 잘 할 것이라고 착각에만 빠져서 헤 메이고 있던 나에게 현실은 그렇지 않다는 사실을 하나님께서는 나의 학생들과의 만남을 통해서 보여 주셨고 그 현실의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서 해결책까지 가르쳐 주셨다. 아이들을 가르치면서 심리적, 정서적으로나 힘든 순간들이 많았던 쳣 해는 그렇게 지나갔고 해가 갈수록 일은 수월해 졌고 요령도 생겼다. 시간이 지날수록 나의 직업에 대한 소명 의식이 생겼고 다른 사람들을 가르침으로 특히 소외된 이웃들을 섬긴다는 사실에 마음 한 구석에 기쁨과 평안을 얻게 되었다. 비록 부족한 아이들이지만 그 부족함과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열심히 살아가는 모습들을 보면서 내 자신이 더욱 더 삶에 대한 꿈과 희망을 얻고 결국 소외된 이웃들을 섬긴다는 그 자체가 내 삶에 긍정적인 영행을 미친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