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님이 우리 주변에 있게 하신 사람들을 사랑하는데 걸림돌이 되는 것이 있다.  그것은 상처이다.  상처는 우리가 사람을 이해하고
섬기며 사랑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막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런 ‘사랑 거부의 행위’를 타당화 시키며 합리화시키기도 한다. 
그런데 먼저 우리가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은 내가 생각하는 그 상처가 상처라고 표현하기에 타당한 상처이냐 라는 것이다. 
어떤 사람은 이런 질문에 대해 본인이 상처를 받았다고 느꼈으면 다 상처인 것이지, 그것을 굳이 구분할 필요가 있냐고 반문할지
모른다.  하지만 의외로 타인이 상처를 주었다기보다는 스스로 상처를 만든 경우가 더 많다.  이것은 상처가 아니다.

  상처를 스스로 만든 상처와 상처라고 불리기에 타당한 상처로 나눈다면 후자는 십계명에 근거한다.  이것은 어느 누가 보아도 큰
아픔이며 억울함이고 위로받아야 할 상처이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의사의 실수로 사랑하는 아들을 잃게 되었거나, 음주
운전자로부터 사고를 당하여 다리를 잃은 사람, 혹은 잘못한 일도 없이 폭행을 당한 사람, 남편의 외도 혹은 아내의 외도, 아껴
모은 돈을 사기 당하거나 보증을 잘못 선 대가로 집을 날리는 경우, 억울하게 모함을 받아 고통을 겪는 사람… 

  이뿐 아니다.  방어능력이 없는 어렸을 때 경험한 부모로 부터의 방임이나 학대도 큰 상처이다.  부모의 무관심으로 반드시 필요한
돌봄이나 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해 평생 한이 맺힌 사람도 있다.  아버지로부터 주먹이나 흉기 등으로 구타를 당하고 어머니로부터
언어폭력이나 정서적 위협을 받는 것도 큰 상처이다.  어렸을 때의 이런 경험은 어른이 된 후에도 그 후유증이 나타나고 많은 일의
걸림돌로 작용하여 삶에 통증을 안겨다 준다.

  위에 기술한 고통과 아픔은 모두 상처라고 불리기에 타당한 상처들이다.  상처받은 사람들은 그들의 상한 마음을 있는 그대로 주님께
토로할 수 있으며, 자비하시고 은혜로우신 하나님은 그 상처를 만지시고 위로해 주실 뿐 아니라 치유해 주신다.  그리고 그 아픈
과거를 재료로 하여 너무나 복된 상황으로 합력하여 선을 이루어 주신다.  마치 상처가 없었으면 어떻게 이런 놀라운 일이 생길 수
있었겠는가 의심할 정도로 훌륭한 작품으로 만들어주신다.  이것이 바로 인간을 향한 하나님의 사랑이고 능력이다.

  그러나 스스로 만든 상처는 이기적이고 자기중심적인 사고에 몰입하여 마치 자신이 희생자인 것으로 착각하게 만든다.  그것은 대략 세 가지 정도로 생각할 수 있다.  첫 번째는
신의 좁은 마음 때문에 생기는 상처이다.  사람을 이해하고 용납하는 마음의 용량이 부족하여, 별 것 아닌 말 한마디나 작은
실수를 이해하지 못하고 상대방에게 정죄의 화살을 돌리는 경우이다.  사람이란 완전한 존재가 아니어서 실수를 자주하고 미숙한 면이
많다.  그렇기에 우리는 이런 연약함을 서로 이해하고 너그럽게 받아야 한다.  마음이 좁아 이런 너그러움이 없는 사람들은 작은
잘못과 작은 실수도 용납하지 못하고 스스로 상처받았다며 상대방을 탓하는 습관이 있다.  반면 자신이 당연히 책임져야 하는 부분에
있어서는 회피하면서도, 그것을 요구받을 때에는 상대방을 까다롭다거나 혹은 지나치다 비난하며 자기에게 상처 주었다고 해석하기도
한다.

   두
번째는 낮은 자존감으로 인한 것이다.  자신에 대한 열등감으로 인해 다른 사람들의 말이나 행동에 매우 예민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생기는 상처이다.  때론 자기를 무시한다고 생각하거나, 어떤 행동을 지나치게 부정적으로 확대해석 하는 경향이 있다.  어떤 때는
상대방의 의미 없는 행동이나 작은 실수조차 자기를 겨냥한 것으로 오해하여 스스로 상처를 만든다.  또한 다른 사람들의 말과
행동에 대해 지나치게 위협을 느끼거나 두려워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열등감이 있는 경우는 의외로 질투심이 많은데, 주변에
있는 사람들과 여러 면으로 비교하여 샘을 내며 자신이 인정받지 못하는 상황이 되면 스스로 상처받는다.

  마지막으로 욕심이 많은 사람들이다.  이들은 상대방이 자신이 기대하는 만큼 따라오지 못하면 그들에게 분노하고 정죄하며 싫어한다. 
뿐만 아니라 그들로 인해 자기가 손해 보았다고 생각하여 그들이 자기에게 상처를 주었다고 단정한다.  상대방에게 지나친 기대를
하거나 비현실적인 기대를 해 놓고 그 기준에 못 미치면 스스로 상처받는 경우이다.

  솔직히 위의 세 가지 상황 모두 기분 좋은 상황은 아니다.  하지만 상처라고 표현할 만한 것은 못된다.  이때는 차라리 ‘내가
속이 상하다’라고 표현하는 것이 더 합당할 것이다.  그런데 안타깝게도 요즘 상처라는 단어를 너무 쉽게 남용하는 것을 많이
본다.  그리하여 점점 더 자기중심적인 생각만 키워가며, 하나님이 우리에게 명령하신 이웃을 사랑하고 섬기는 일에 대해서는
책임회피 하고 있다.

  기독교가 사회적인 책임은 감당하지 않으면서 자신의 유익만 구하는 이기적인 단체라 비난받고 있는 이 시점, 내가 생각하는 나의
상처가 혹 스스로 만든 상처는 아닌지 심각하게 생각해 볼 일이다.  그리고 건강한 자아로 욕심을 버리며 사랑의 용량을 키워 나갈
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