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배의 정점은 항복이다
‘오직 주 만이’ 작곡 배경
“나의 영혼이 잠잠히 하나님만 바람이여, 나의 구원이 저에게서 나는도다.” 시 62:1
 
1987년 6월은 나의 대학생활 중 가장 시끄러운 달이었다. 같은 캠퍼스에서 공부하던 이한열 학우가 전경 측에서 쏜 최루탄에 맞아 병원에 이송되었으나 결국 생명을 잃었다. 이 사건으로 도화선에 불붙듯 전국의 대학생들이 들고 일어났고 더욱 거세진 데모로 나라전체가 술렁였다. 당시 한국교회 안에도 좌우의 대립양상이 극에 달했다. 경배와 찬양 모임들은 어떤 환경 속에서도 하나님을 예배하는 일을 그치지 않았다. 한 쪽에서는 침묵하고 계시는 하나님에 대해 ‘말 못하는 하나님’, ‘입 없는 하나님’이라는 독설적인 표현까지 터져 나왔다.
복음주의 진영의 공식입장은 데모 참여를 금했지만, 내가 속했던 IVF 학생선교단체에서는 개인적인 차원에서는 참여할 수 있도록 선을 그어주었다. 나는 젊은 혈기에 못 이겨 그 데모 대열에 뛰어 들었다.
데모 이후 내 마음은 항상 불편했다. 군중 속에 섞여 뛰고, 돌도 던지고, 도망하는 폭력적 태도를 내 이성은 합리화했지만 마음은 허무하기 이를 데 없었다. 대학 졸업반이었던 나는 학업 이성, 졸업 후 진로에 시국문제까지 맞물려 심적으로 가장 복잡한 시기를 겪고 있었다.
 
게다가 당시 나는 크리스천으로서 한 번 즈음은 통과해야 할 내면의 전쟁, 즉 바울 사도가 로마서 7:19,24에서 고백했듯이, “내가 원하는 바 선은 하지 아니하고 도리어 원치 아니하는바 악은 행하는도다… 오호라 나는 곤고한 사람이로다. 이 사망의 몸에서 누가 나를 건져내랴”는 내적 갈등을 치열하게 경험하고 있었으니 당시 나의 내면세계는 한마디로 전시상황이었다. 어느 날 아침 말씀을 묵상하려고 그날 본문을 폈다. 다윗이 쓴 시편 62편이었다. 
“나의 영혼이 잠잠히 하나님만 바람이여.” (시 62:1 상반절)
1절에서부터 마치 케이오 펀치를 맞은 것처럼 눈앞이 아찔했다. “잠잠히 하나님만 바람이여.” 그랬다. 내 영혼은 잠잠하기는커녕 폭풍 속에 요동하고 있었다. 하나님만 바라는 것이 아니라 세상의 환영을 기대하고 있었다. 살았고 운동력이 있는 하나님의 말씀 앞에 내 영은 무너져 내렸다. 문득 하나님 외의 너무 많은 곳에 마음이 분산되어 있는 내 자신을 발견했다. 
‘하나님, 제가 하나님 아닌 다른 것에 너무 마음을 빼앗기고 있었군요.’ 말씀 앞에 무릎 꿇었다. 이 시편 62편은 그저 평화로운 안식을 누리며 고요한 마음의 평정 속에서 흘러나온 고백이 아니었다. 숱한 고민과 두려움은 물론 죽음의 위협까지 받고 있던 청년 다윗이 자기 자신을 향한 선언이었다. 다윗은 하나님으로부터 왕으로 기름부음 받은 지 수년이 지났다. 그를 향한 백성의 인기도 하늘높이 치솟고 있었다. 그러나 여전히 현재의 왕은 자신을 죽이려고 안간힘을 쓰고 있다. 
하나님마저 인정한 왕권, 그 고지가 손에 잡힐 듯 눈앞에 아른 한데, 승기는 사울 왕의 손에 아직도 굳게 쥐어져 있다. 그 갑갑한 현실을 다윗은 묵묵히 참아내야만 했다. 험난한 엔디게 사막에서의 끝 모를 도피생활은 다윗을 무너뜨렸다. 그래서 시편 62편은 처절하게 무너진 삶의 돌무덤을 뚫고 피어난 한 송이 백합화이다.
“기울어 가는 담과도 같고 무너지는 돌담과도 같은 사람을, 너희가 죽이려고 다 함께 추격하니, 너희가 언제까지 그리하겠느냐? 너희가 그를 그 높은 자리에서 떨어뜨릴 궁리만 하고, 거짓말만 즐겨 하니, 입으로 해주는 축복이 속으로는 저주로구나.(셀라)” (시 62:3,4) 코앞에 다가오는 죽음의 위협 속에서 터져 나온 영혼을 향한 절대 선언이었다. 극한 상황에서 오히려 “나의 영혼아 잠잠히 하나님만 바라라” 명령하는 다윗의 고백이 그 어떤 해답보다 강력하게 내 영혼을 뒤 흔들었다. 그 말씀 앞에 무릎으로 항복했다. 순간 영감이 떠올랐다. 그때부터 불과 10여분 만에 ‘오직 주 만이’라는 곡이 탄생했다. 
당시 송정미, 김지현과 종종 모여 자신이 창작한 곡을 나누곤 했다. 어느 날 아침, 정미에게 전화가 왔다. 시편 62편을 묵상하는데 이 말씀을 세상에 선포하라는 하나님의 음성을 들었다는 것이다. 그래서 내 곡으로 극동방송 복음성가 경연대회에 나가려고 하니 허락해달라는 것이었다. 허락하지 못할 이유가 없었고, 결국 정미는 본선에 올라 대상과 함께 작곡상까지 받게 되었다. 그 이후 정미는 전국방방곡곡을 다니며 ‘잠잠히 하나님을 바라는 믿음의 능력’을 담대히 선포하는 여 전사가 되었다.
2009년 한국 방문 시 만난 송정미 사모가 당시 상황에 대해 처음 말문을 열었다. 복잡한 시국상황을 수년 경험하면서 고민이 많았단다. 그러던 어느 날, 바로 시편 62편이 해답으로 다가왔단다. 잠잠히 하나님만 바라는 것이 결코 무능력이 아님을 알게 되었다. 하나님은 단지 ‘말 못하는 하나님’이 아니었음을 깨달았다. ‘나의 구원 나의 영광’이 내 의에 있지 않고, 하나님께 있으며, 그래서 현실을 극복하고 치유하는 힘이 나에게 있지 않고, 하나님께 있음을 발견한 것이다.
감사한 것은 말씀 앞에 항복하고 작곡한 ‘오직 주 만이’가 지난 20여 년 동안 예배 현장에서도 변함없이 불리고 있는 예배곡이 되었다는 점이다. 항복은 순종의 최고 단계요, 예배의 심장 heart of worship이다. 자아의 끝에서 하나님이 시작한다. 구세군 창시자인 윌리엄 부스는 말했다. “인간의 가장 위대한 능력은 그의 항복의 크기이다.” 그래서 항복은 예배의 정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