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 KOSTA/USA Chicago Conference에서 있었던, 신자은 교수의 “Justice: What Can Christianity Do About It?” 세미나를 두 번에 걸쳐서 연재합니다.

Justice: What Can Christianity Do About It?
과학기술의 발전, 물질문명의 고도화, 범세계적 가치로서의 민주주의로 특징되는 이 시대는 ‘인류 역사의 한계없는 진화’라는 신화로 우리를 유혹한다. 하지만, 개인으로부터 국가에 이르기까지 모든 영역과 국면에서 심화되고 있는 ‘injustice’의 문제로 인해, 도덕과 윤리의 창조적인 재정립의 노력과 ‘정의’롭고 지속가능한 미래에 대한 청사진의 제시가 시급하다.   
본 TM세미나는, 크게는 21세기, 좁게는 일상의 삶이라는 context에서 (1) ‘정의’의 시대적 relevance를 먼저 타진해보고, (2) 우리가 추구해야 할 ‘정의’는 무엇인지를 규명한 뒤,  (3) 어떻게 ‘정의’를 구현해낼 것인지를 함께 고민할 것이다. ‘정의’에 대하여 하나님 나라 복음은 우리에게 무엇을 조명해주는지,  우리의 신앙과 학문/전공영역에서의 활동은 이를 위해 어떻게 헌신되어야 할 것인지를 구체적으로 설정해보기 원한다.
포스트모던시대의 Justice: 시대적 적실성
 

하버드 대학교의 정치철학 교수인 Michael J. Sandel의 책 ‘Justice’는 미국을 물론 한국에서도 베스트셀러가 된 인문사회서적이다. 좀처럼 베스트셀러에 이름을 올리기 어려운 인문사회서가, 그것도 ‘정의’라는 딱딱하고 고전적인 주제를 다룬 이 책이 베스트셀러가 되었다는 점은 그 자체로 출판계의 화제거리였다. 이 묵직한 주제를, 빌 게이츠와 마이클 타이슨의 부wealth, 장기organs 거래, 대리모, 안락사, 동성결혼의 문제등 일상 생활에서 경험되고 논의되는 친숙한 사례들을 통해서 대중들에게 신선하게 접근하고 있는 점이 인상적이다. 이 책을 통해서, 독자들은 제레미 벤담, 존 스튜어트 밀, 임마누엘 칸트, 그리고 아리스토텔레스가 고민하고 논했던 정의, 도덕, 자유의 문제들이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하며, 이 시대의 삶의 모습을 빚어내는 수많은 의사결정의 근거가 되는 핵심가치임을 새롭게 발견하게 된다. ‘정의’와 관련된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현안들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는 것이 아닌, ‘정의’의 문제의 중요성, 그것이 얼마나 우리의 삶에 가까운지를 환기하고 함께 고민하기를 ‘초청’하는 이 책에 대한 열정적인 반응은, 첨단 과학과 경제적 풍요로 특징되는 이 시대에도 ‘what is the right thing to do?’라는 질문이 역사 어느 때보다도 적실하고 긴요함을 반증해준다.  

이성과 과학적 증거, 합리적인 사고와 논증이라는 방법론을 통해서 우리가 가진 본질적인 가치 판단, 즉 what is right, what is the right thing to do의 답을 찾는 일에 우리는 매우 익숙하고 또 그것이 효과적이라고 믿는다. 하지만, 실제로 우리가 의사결정에 적용하는 ‘정의’의 기준은 종종 주관적이고 직관적이며 다원적이다. [인문학 콘서트]라는 책에서, 서울대 철학과의 황경식교수는 ‘무엇이 옳은 것인가’라는 현대 사회가 직면한 다양한 문제에 단 하나의 정답만이 있을 수 없으며 이것을 인정하는 것이 다원주의를 살아가는 지혜이자 윤리라고 말한다. 이것을 설명하기 위해 제시한 그의 상황극이다:  

1841년 미국 리버풀에서 필라델피아로 항해하던 윌리엄 브라운 호가 난파의 위기에 처한다. 승객들은 모두 구명보트에 올라 탔다. 그런데 인원이 초과되어 또다시 구명보트가 침몰할 상황이 되었다. 몇 명이 희생하여 나머지 승객들이 살아남아야 할 것인지, 아니면 함께 전멸할 것인지. 선장의 도덕적 딜레마다.

생명이 귀하다는 가치를 적용할 때, 전멸보다는 일부라도 생존하는 것이 옳다. 그렇다면 누가 희생해야 하는가? 승객 전체의 이익(전멸하지 않고 일부라도 생환하는)을 위해서 개인(희생된)의 이익이 포기되어야 하는 근거는 무엇인가? 승객 개개인의 ‘생명’의 가치와 ‘생존’의 권리에는 차등이 있을 수 없다는 ‘형평’의 가치를 적용할 때, 답은 안타깝게도 전멸이다. 무엇이 ‘옳은’ 결정인가? ‘생명’이라는 가치와, ‘형평’이라는 가치사이의 최선의 중간지점은 어디인가?  
최근 한국에서 중요한 정치적 쟁점이 되고있는 무상복지 문제를 생각해보자. 보편적 복지와 선택적 복지라는 두 가지 관점이 첨예하게 대립하면서 다음 대선의 향방을 결정하는 중요 변수가 되고 있다. 무상복지라는 문제에 개입되어 있는 도덕적 가치들이 얼마나 다양하고 복잡하게 얽혀있는지를 생각할 때, 우리는 다시금 ‘what is the right thing to do?’라는 질문으로 돌아간다. ‘성장과 분배’, ‘개인과 사회’, ‘시장과 규제’, ‘효율과 형평’, ‘자유와 평등’ ‘개발과 보존’ ‘사유와  공유’ ‘경쟁과 협동’. 모두 같은 질문을 우리에게 던진다. 다원화된 사회, 포스트모더니즘의 시대가 이렇게 우리에게 무엇이 옳은가를 물어온다.   
2011년 코스타의 본 TM세미나에 참석한 코스탄들은 자신의 일상과 친밀한 친구와 이웃간의 관계로부터 국제질서와 같은 거시적 구조의 측면에 이르기까지 모든 국면에서 제기되는 무엇이 옳은 것인가의 질문, 왜 불의가 이렇듯 prevalent한가, 또 불의라고 판단되는 사안에 대해서 어떤 태도와 구체적인 행동을 취해야 할 것인가, 성경은 무엇이 정의라고 말하는가에 대한 깊은 고민을 나누었다. 한진 중공업 사태, 동성애자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법안을 지지하는 서명을 요청하는 친구를 대할 때, 힘으로 지배되는 국제정치사회에 과연 하나님의 법이 정의로운 규칙으로 작용할 수있을 것인가, 또 법망을 교묘하게 피하면서 큰 수익을 올릴 수있는 업계의 용인된 영업방식에 대한 고민, 저개발국을 지원하는 정의로운 접근 방식은 무엇일지, 불투명한 교회재정의 문제를 어떻게 바라보아야 할지에 대한 이슈들을 나누었다. 이러한 나눔을 통해서, 옳고 그름의 판단 그리고  그 판단에 따라 우리의 삶을 align하는 문제는 그리스도인들이 결코 회피할 수 없는 소명이지만, 또한 우리 힘과 지혜, 능력, 의로움으로 감당할 수있는 것이 아님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렇다면 이 문제들의 key는 무엇일까?  (다음편에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