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스타 2003년 12월

  최근에 예배와 찬양인도를 하면서 내 안에 자리잡은 궁금증은 ?도대체 얼마만큼 음악적인 자유를 가져야 하는 가? 이다. 94, 처음 미국에 와서 몬타나의 국제 YWAM베이스에서 있었던 쇼크는 아직도 예배와 찬양인도를 하는 나에게는 깊은 인상을 남겼다. 영어로 노래 부르기에 이해할 수 없었지만, 하여간에 찢어진 청바지를 입고, 락 콘서트를 하는 것 같은 그들의 모습을 보면서 속으로 ?저게 크리스천이 맞아? 라고 질문했던 것을 기억한다. 그러나 더욱 나를 힘들게 했던 일은 놀랍게도 집회가 끝난 후에 많은 Youth아이들이 하나님을 영접했다는 사실이었다. 이럴 수가! 나는 혼란 속에 빠졌었다. 당시 부산지역에서 예배 인도자로 섬기고 있었지만, 한번도 그런 식의 예배를 드려본 적이 없었기 때문에 나에게는 큰 도전이 되었다. 왜냐하면 당시의 한국의 경배와 찬양은 이른 바 발라드의 전성시대였기 때문에, 의례 예배에 쓰여지는 곡들은 한정되어 있고, 얌전하고 조용하게 하는 스타일이 주류였다. 결국 그 때의 경험이 후에 나의 예배인도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95년도에는 이른 바, 한국의 많은 가요들이 서태지의 음악을 통한 영향력으로 랩이 절정을 이루었던 시기였다. 그 때 미국에서 가져온 앨범 중에 유명한 예배인도자인 밥 피치의 Proclaim His power라는 새로운 앨범을 듣게 되었다. 한참을 듣는데 참으로 희한한 곡이 있었다. Romans 16:19 says라는 곡이었는데, 로마서 16장의 말씀을 그대로 랩으로 담아서 만든 곡이었다. 물론, 완전한 랩이라고는 할 수 없었지만, 들으면서 나름대로 번역을 해서 곡을 불러 보았다. 일단 번역을 하면 같이 사역하는 뮤지션들과 같이 연습을 해 보는 것이 필요한데, 막상 노래를 하고 마지막 랩 부분을 하려 하니, 뭔가 어색하고 찬양을 한다는 느낌이 아니라 세상가요를 부르는 느낌이어서 번역을 했지만 한번도 부를 수가 없었다. 그렇게 1년 정도의 시간이 흐르고, 한번은 로마서를 묵상하다가 찬양의 구절들을 보게 되었다. 너희 순종함이 모든 사람에게 들리는지라 그러므로 내가 너희를 인하여 기뻐하노니 너희가 선한 데 지혜롭고 악한 데 미련하기를 원하노라. 평강의 하나님께서 속히 사단을 너희 발 아래서 상하게 하시리라 우리 주 예수의 은혜가 너희에게 있을 지어다 말씀을 묵상하면서 내 안에 새로운 깨달음이 있었다. , 이 찬양은 단순하게, 하나님을 찬양하는 것뿐만 아니라, 우리 자신에게 그리고 우리의 원수인 사단에게 명령하는 것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 찬양 안에 하나님의 말씀을 통해서 단순한 노래가 아닌 기도와 영적 전쟁이 함께 선포된다는 사실이었다. 그전에도 많은 분들이 강의해 왔던 사실이 내게 새로운 깨달음으로 다가오는 순간이었다. 96년의 YWAM의 중 고등부 수련회 마지막 날 이 찬양을 처음으로 부르게 되었다. 모르는 찬양을 처음, 그것도 랩이라는 장르로 부른 그 날 집회에서 우리는 이 찬양을 12번 이상을 불러야 했다. 1500여명이 하나가 되어서 하나님께, 그리고 자기 자신에게, 그리고 원수인 사단에게 말씀으로 굳게 서 있을 것을 노래했다. 덕분에 나는 한국에서 처음으로 랩송을 인도한 예배인도자가 되었다.


  그 후 한국에서 앨범을 만들 때에도 이 곡은 메인 타이틀이 되었다. 녹음을 하면서도 사단의 방해를 느낄 수가 있었다. 다른 곡들은 정말 무리 없이 녹음이 되었는데, 이 곡을 녹음할 때에는 세 번이나 녹음을 하다가 중단이 되었다. 한번은 녹음을 했는데, 아예 녹음이 안 되었고, 두 번째는 녹음하는 테이프가 끊어져 버렸다. 나는 개인적으로 이 곡을 좋아하지만, 때로는 이 곡을 통해서 은혜를 받지 못하는 것도 경험을 하게 되었다. 음악스타일로 따지게 된다면 처음에 소개할 당시 래디칼하게 느껴질 수 있는 요소가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이 곡을 묵상하지 않는다면 이 곡이 주는 영적인 의미를 발견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물론 모든 예배와 찬양곡들이 마찬가지이듯이, 원래 작곡한 사람의 의도나 혹은 의미를 파악하지 못한다면 회중들을 자기 중심의 구렁텅이로 빠뜨리기 쉽다. 하지만 반대로 어떤 곡을 하더라고 그 속에 담긴 뜻을 파악하고 연구한다면 곡을 부르는 동안 하나님의 영이 함께 하실 것이라고 생각한다. 유명한 ?이와 같은 때엔?의 작곡자이신 데이비드 그레함은 이 곡을 자신의 아내와 자녀들이 집에 불이 나서 죽은 자리에서 불렀다고 한다. 이 이야기를 직접 듣는 순간 이 곡에 대한 나의 태도를 달라지게 만들었다.


  결과적으로 이야기한다면 나는 음악의 모습이나 형태는 이제 더 이상 문제가 없다고 생각한다. 자세히 기억을 더듬어 보면 94년 당시 YWAM 몬타나 베이스의 친구들의 노래 안에는 하나님에 대한 갈망, 그리고 영혼에 대한 열정이 있었다. 그리고 그들의 삶은 참으로 진실 되고 하나님 앞에 겸손한 사람들이었다. 단지 복장이나 모습이 내게 익숙하지 않기에 내 마음속에 과연 저 사람들에게 얼마나 신앙이 있을까 하는 판단하는 마음이 있었기에 진정한 모습을 찾지 못한 것이었다. 한국의 하덕규 집사님이 이야기했던 것처럼 성경에 나오는 역청이 노아의 방주에도 쓰였지만, 바벨탑에도 쓰여졌다는 사실에 대해서, 음악이란 역청과 같아서 누군가에 의해 쓰여지는 것에 따라서 완전하게 다르다는 사실을 이야기했었던 기억이 난다. 결국 인도자의 역할이 중요한 것이다. 회중에게 원하시는 하나님의 마음이 무엇인지를 기도로서 준비하지 않는다면, 결과적으로 노아의 방주로 시작해서 만들다가 바벨탑을 쌓고 끝나 버리는 것이다.


  올해로 나는 예배와 찬양인도를 해 온지 꼭 13년이 되어 간다. 정말로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정말로 예배와 찬양인도가 어렵다는 것을 느낀다. 경험으로만 되는 것이 아니라 영혼에 대한 마음을 갖지 않는다면 나는 울리는 꽹과리로 전락하는 것을 알기에 오늘도 두려운 마음으로 기타를 끄집어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