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전 성경강해는 김성환 목사님께서 전해 주셨습니다.

베드로전서 2:11-12 (새번역)

11 사랑하는 여러분, 나는 나그네와 거류민 같은 여러분에게 권합니다. 영혼을 거슬러 싸우는 육체적 정욕을 멀리하십시오. 12 여러분은 이방 사람 가운데서 행실을 바르게 하십시오. 그렇게 해야 그들은 여러분더러 악을 행 하는 자라고 욕하다가도, 여러분의 바른 행위를 보고 하나님께서 찾아오시는 날에 하나님께 영광을 돌릴 것입니다.

김성환 목사님은 ‘가나공방’이라는 일인 공방을 운영하시고 계십니다. 자신과 같은 ‘목수’에게 오전 성경 강해 시간을 맡기는 ‘코스타의 무모함이 고맙다는 말씀이 매우 친근하게 다가왔습니다. 성경강해 내용의 일부를 아래에 적었습니다.

나는 누구인가? 나는 어디에 속했지? 정체성의 문제로 고민하던 제게 새로운 소속감과 정체성을 세워 준 것은 성경이었습니다. 어느날 성경을 읽다가 “이야, 성경에 이런 말씀도 있구나!” 싶은 반가운 말씀을 만났습니다. 빌립보서 3:20이었어요.

“우리의 시민권은 하늘에 있습니다. 그곳으로부터 우리는 구주로 오실 주 예수 그리스도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이야, 성경에 이런 말씀도 있구나! 영주권 없을 때 이런 말씀은 들으면 눈물 나는 말씀입니다. “그래, 난 이 땅에 속한 사람이 아 니지, 하늘에 속한 사람이지.” 대학교 때 이 말씀 붙잡고 살았습니다. 지금은 미국의 시민권자가 되었지만 그것은 그저 종이 서류 에 불과할 뿐, 우리의 소속은 하늘입니다.

아브라함은 하란에서 본토 아비집을 떠나라는 하나님의 명령을 듣습니다. 그 때 그의 나이 75세였습니다. 75세면 자신이 살아 온 곳이 얼마나 익숙할까요, 이제 남은 여생, 익숙한 곳에서 노년을 누려야 할 때인데 하나님은 안전지대를 떠나라고 하십니다. 하나님은 늘 그처럼 우리가 익숙한 곳, 기득권이 보장된 곳을 떠나라고 하십니다. 떠나야 새로운 정체성을 보게 되기 때문입니다.

롭스터 같은 갑각류가 어떻게 성장하는지 보면 참 신기합니다. 어느 날, 입고 있던 껍질에서 알몸이 쏙 빠져나옵니다. 그리고 또다른 껍질을 몸에서 만들어내기까지 연약한 상태, Vulnerable한 상태 로 지냅니다. 롭스터의 입장에서는 그렇게 자신을 보호하고 익숙하게 여겨지는 껍질을 벗어야 다음 단계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롭스터에게 껍질은 자신을 지켜주는 안전장치인 동시에 자신의 동작을 제한하는 한계이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안전하게 느껴지는 껍질을 벗는 Vulnerability를 통해 우리는 성장합니다.

노예로 사는 현실이 당연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깨닫게 하시기 위해서 하나님은 이스라엘 민족으로 하여금 이집트를 떠나게 하 셨습니다. 오늘도 마찬가지로 하나님은 당신의 사랑하는 사람들을 떠나게 하십니다. 내가 살고 있는 현실이 전부가 아니라는 사 실을 깨닫기 위해서 말입니다.

떠남이라는 것은 꼭 어떤 특정한 장 소를 벗어나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닙니다. 우리가 익숙하고, 안주하고 있는 삶의 방식, 딱딱하게 굳어버린 사고 방식, 나를 속박하고 있는 그 어떤 상태를 벗어나 성장하고 변화되기 위해 내적으로 갈등을 겪고 고투하는 것도 떠남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성경에 기록된 모든 나그네 여정의 최고 절정은 예수님의 이야기입니다. 요한복음 1:14은 이렇게 선포합니다. 말씀이 육신이 되어 우리 가운데 거하셨다. The Word became flesh and dwelt among us. 거하셨다고 번역했는데 원문의 의미는 말씀이 몸이 되셔서 광야 같은 곳에 사는 우리 인간 가운데 함께 장막/텐트를 치셨다는 것 입니다.

영이 육이 되는 여정, 하나님과 동등됨을 당연히 여기지 않으시고 당신의 하나님 됨을 비우시고 종의 몸으로 오시는 댓가를 치루시고 떠나신 여행길이었습니다.

세상은 집요하게 우리를 향해 이걸 가져야 행복한 거야, 이런 자리에 앉아야 성공한거야. 이런 라이프 스타일을 살아야 멋있는 거야… 하고 주입합니다. ‘나는 중요한 사람이야’ 라고 인정 받기 위해 우리 모두 안간힘을 쓰고 살아가지만 그게 사실은 바디메 오가 입고 있는 넝마 옷일 때가 많습니다. 하나님의 사람들은 건강한 자존감을 위해 누구에게 인정받고 칭찬 받아야 하는 사람이 아니라 그저 하나님께서 사랑하시고 존귀 한 사람이라고 인정해 주시기에 마음의 평안을 누리는 사람들입니다.

공생애를 시작할 때 요단강에서 세례를 받고 나오시는 예수님을 성부와 성령께서 응원해 주시는 장면이 나오지요. 성령은 비둘기처럼 예수님께 임하시고, 하늘이 열리고 성부께서 예수님께 뭐라고 말씀하십니까? “너는 내가 사랑하는 아들이 야.” 그 한마디입니다. 그걸로 족합니다. 그 한마디 붙잡고 예수님은 십자가까지 가는 겁니다. 여러분, 저와 여러분은 하나님께서 사랑하시는 자녀들입니다. 그 변치 않는 신분이 우리가 누리는 기쁨이요, 자유함입니다.

21살에 아버지의 임종을 지켜보았습니다. 아버지가 무기력하게 죽는 모습을 아무것도 할 수 없이 바라보는 건 젊은 아들에게 어 마어마한 트라우마였습니다. 그걸 보면서 제가 느낀 것이 있습니다. “언젠가 나도 저렇게 가는 거구나.” … 중요한 건 이 땅 사는 동안 우리 마음 속에 어떤 가치관, 어떤 지향점을 가지고 이세상을 살아갈거냐 하는 것입니다.

나그네로 살아가는 목적이 있다는 것입니다. 그것이 뭘까요? 그것은 바로 우리가 제사장이 되는 것입니다. … 예수님은 하늘과 땅을 연결시키는 대제사장 나그네로 오셨던 것입니다. … 여기 600명의 크리스찬 청년들이 와 있는데 사람들이 온다는 것은 실로 어마어마한 일입니다. 이 자리에 600명의 제사장들이 모 여있기 때문입니다. 예수님을 대제사장으로 모시고 각자 삶의 자리에서 세탁소 직원 제사장으로, 자동차 정비소에서 메케닉 제사장으로, 교회에서 목회자 제사장으로, 학교에서 유학생 제사장으로, 가정에서 가정주부 제사장으로 살아가고 있는 거룩한 하 나님의 사람들이 온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 코스타가 여러분 모두에게 예수님이 주시는 새로운 정체성으로 옷 갈아입는 시간이 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 코스타가 산티아고 순례길의 피난처/쉼터처럼 나그네 소저너의 길을 걷는 우리 모두가 서로 위로되고 격려되고 새 힘을 얻는 시간이 되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코스타가 끝나고 나면 여러분의 교회를 그런 공간으로 만들어가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