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자은] 회심

<회심>  짐 월리스, IVP

<The Call to Conversion: Why Faith is Always Personal But Never Private> Jim Wallis

 
이 책은 IVP에서 2008년에 한국어로 번역 출간했고, 영문판은 2005년에 출간되었지만, 원래는 1981년에 쓰여진 책이다. 1981년이면 필자가 초등학교 1학년일 때이니, 30년의 세월을 견뎌낸 ‘고전’의 재발견이다.   

이 책이 한 세대 전에 쓰여졌음을 감안할 때, 현 시대의 세상과 교회를 조명하고, 그리스도인들을 “제자들을 향한 예수 그리스도의 최초의 부르심”으로 이끌어내는데 이보다 더 명료하고 시의적절할 수는 없다는 점은 경이롭기만 하다. 동시에, 이미 한 세대 전에 제시되었고 예견되었던 도전과 경고에 대해서 교회와 그리스도인이 얼마나 무심하였고 무지하셨고 또 무방비상태로 지난 30년을 지나왔고, 그래서 이 책의 엄중한 지적앞에서 변명할 여지가 없는 초라한 모습으로 서있는가를 인정할 수 밖에 없었기에, 좋은 책을 만난 기쁨이 철저한 고통으로 다가오는 독서였다.

이 책의 영문 원제목은 저자가 ‘그리스도인의 회심(conversion)’에 대해 전달하고 싶은 메시지를 매우 분명하게 담아낸다. 즉, 그리스도인의 회심은 ‘개인적personal이고 인격적’인 것이지만, 그것이 한 개인에게 일어났을 때 필연적으로  ‘사적인private’ 영역을 넘어서는 역사적인 현실로 드러나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회심의 본질을 저자는 ‘역사 속의 회심 conversion-in-history’라고 명명한다. 저자는 ‘공적인 생활과 개인적 신앙’간의 유리 혹은 이원화의 결과, ‘신앙이 역사로부터 갈라져 나옴’으로 인해 오늘날의 교회가 어려움에 처해있다고 진단한다.

회심은, ‘어디인가로부터 돌아서는 회개’에서 ‘어디인가를 향해 나아가는 신앙’으로 나아간다. ‘어디인가로부터’의 영적 특징은 죄이며, ‘어디로’의 본질은 구원이며 하나님 나라이다. 회심이 하나님없는 세상으로부터 하나님 나라를 향하는 것이라면, 회심을 통해 ‘그리스도인’, 즉 하나님 나라의 백성이라는 새로운 identity를 부여받은 사람은, 그가 속한 역사의 현실을 하나님 나라의 가치와 질서에 따라 새롭게 정의하고 그 질서에 따라 살게 된다. 결국, ‘회심’은 존재의 새로와짐과 삶의 새로와짐에 대한 하나님의 부르심이기에, 반드시 역사적인 현상으로서 관찰되지 않을 수 없다. 한 사람이 죄와 우상과 자기 중심성이라는 구조에서 ‘회심하여’ 구원과 하나님 그리고 이웃이라는 하나님 나라의 백성이 되었다면, 가난과 불의, 불평등과 부조리, 분쟁과 환경파괴의 문제에 대하여 이전과 동일한 방식으로 반응할 수는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예수님의 제자들에게 초기 교회와 초기 그리스도인에게, ‘회심’은 이렇게 역사적인 사안이었다. 세상은 그들을 ‘특정한 삶의 형태, 분별 가능한 생활방식을 따르는 사람들’, 즉 그들이 믿고 전파하는 복음을 “실제로 사는” 사람들로 인식했다. ‘회심’이 갖는 이러한 역사성은, ‘(회심을 통해 떠나온) 세상의 가치관과 방식이 (회심을 통해서 속하게 된) 하나님 나라의 그것과 결코 양립할 수 없다’는 무형의 진리가 ‘새로운 방식의 삶’이라는 모습으로 incarnation된다는 관점에서 역사의 일부이지만, 시공간에 제한을 받지 않고 동일하게 작용하는 복음의 능력이기에 역사를 뛰어넘어 영원으로 향한다.

저자는 성경이 무엇을 말하는가에 대하여 세상이 알고 있는 바와, 그리스도인의 삶에 대한 세상의 관찰사이의 불일치, 결여된 연관성으로 인해서 복음 전도의 능력이 상실되었다고 지적하고, 이것을 “배반” (2장의 title)이라고 부른다. ‘예수가 구원자시다, 예수가 주인이시다’라는 구호와 고백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가시적인 사례가 개인과 역사속에서 실종되었을 때, 우리는 더이상 하나님 나라의 백성으로 산다는 것이 무엇인지를 알지도 보지도 못하는 세대가 되었고, 우리의 질문은 ‘예수께서 나에게 무엇을 해주실까?’로 천착되었다. 우리의 관심은, 하나님 나라로부터 임하는 새로운 질서가 아니라, 세상의 질서가운데 하나님의 능력을 ‘등에 업는’ 방식으로 우상화되었다.

저자는, 1장과 2장에서 회심의 역사성, 하나님 나라와의 연관성 그리고 회심의 사회적 의미, 그리고 그것으로부터 벗어난 이 세대의 배반에 대한 일반론을 토대로, 가난, 전쟁, 교회, 예배에 대한 3장에서 6장까지의 각론을 통해 ‘회심’의 구체적인 영역을 제시한다.  

‘회심’을 통한 하나님 나라 백성으로의 부르심은 개인적이고 철저히 수동적이며 따라서 ‘생명을 얻는 사건’이지만(그것이 하나님의 은혜의 선물이므로), 그 부르심의 결과 하나님 나라에 속하게 된 한 개인에게 주어진 역사적 소명은 생명을 건 전투가 아닐 수 없다. ‘회심’이 세상의 불의와 불완전을 드러내기 때문에 세상은 ‘회심’을 싫어한다. 그래서 저자는 이 책을 마무리하면서,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의 권능으로 이 회심을 살아내라고 권면하고 있다.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을 통해서 이미 성취되었고 또한 성취될 승리에 대한 확신없이, 우리의 삶을 통째로 건 ‘회심’의 길을 세상을 거슬러 걸어가기는 어렵다. 

‘회심’이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의 승리를 그 원동력으로 삼는다면, 그리스도인이 사는 회심의 삶이 이 세상에서 얼마나 적대적이고 극단적이고 급진적이고 기존의 질서와 체계를 어지럽히며 또한 어리석은 것으로 드러나게 될 것인가.  이것이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그 분의 가르침과 삶에 대한 당대의 반응이었고, 그 분을 따랐던 제자들과 초기 그리스도인에 대한 세상의 태도였다. 21세기라는 역사를 소명으로 부여받은 오늘날의 교회와 그리스도인들이 ‘회심’를 다시 배우고 ‘회심’을 살기 위해 모든 위험과 비용을 감수하기를 각오해야 하는 이유다.  

책을 덮으며, 이 ‘회심’의 길을, 삶으로 실재하는 믿음의 삶을 사는 누군가를 만나고픈 그리움과 나는 이 분명한 부르심앞에서 얼마나 생명을 쏟아붓고 있는지, 어떤 비용을 치르고 있는지에 대한 부끄러움이 교차했다. ‘역사 속의 회심’이 겨우 이제 내 안에서 시작되고 있었다.

“성경적 회심의 목표는 역사와 별개로 영혼을 구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 나라를 그 폭발적인 힘과 함께 세상으로 가져오는 것이다. 회심은 개인에게서 시작하지만 세상을 위한 것이다” (1장 부르심, p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