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연종] ‘테러리즘’ 다시 보기

김연종 교수의 문화 탐구


‘테러리즘’ 다시 보기

오늘 텔레비전 뉴스는 뉴욕 세계무역센터(WTC) 빌딩 붕괴 현장에서 열린 ‘9.11 테러’희생자 추도식을 보여 주었다. 사람들은 저마다 슬픔을 가누지 못했고 그 장면을 보는 나도 눈시울이 뜨거워졌다. 어제는 빌딩 피폭시 현장에 출동했던 911 소방대원의 생전의 모습들이 하나씩 소개되고 있었다. 사람이 죽는다는 것, 그것도 예고 없이 죽는다는 것은 가족은 물론 그를 알았던 주위 사람들을 참으로 황망하게 한다. 911 테러로 죽은 사람들 주변에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가슴 아픈 사연을 가졌을까 생각하면 다시금 가슴이 아려온다. 그런데 오늘 텔레비전을 보다가 나는 아프가니스탄의 파괴 현장 사람들도 마찬가지로 가슴 아픈 사연들이 있겠다 싶어졌다. 그러다가 미국 사람의 슬픔은 크고 애절한 반면, 사막의 한가운데서 먼지더미에 파묻혀 버린 가난한 사람들의 슬픔에는 무감한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왜 내게 미국인은 나와 같은 사람 같고 그래서 그들의 슬픔은 쉽게 동감이 되면서도, 왜 아프간이나 아랍 사람들의 슬픔은 가슴에 와 닿지 않을까 생각해 보게 되었다.

우리가 세상을 미국의 눈으로 보고 미국의 입장에서 보아 온 것은 자그마치 50여 년에 이른다. 그 동안 미국은 우리의 가장 가까운 혈맹이어서 그들의 이야기는 어떤 의심조차 없이 당연히 받아들여 온 것 같다. 더구나 세계인의 눈과 귀가 되는 언론의 대부분을 미국인이 차지하고 있어 미국의 눈과 입이 우리의 눈과 귀가 되어온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었을 것이다. 911 사태만 하더라도 우리는 미국의 CNN을 통해 테러의 잔인함에 분노하고 슬퍼했으며 아랍인에 대한 맹목적 적개심을 키워왔던 것 같다. 왜 테러가 일어났는지, 아랍인들은 왜 그토록 미국에 분노하는지를 냉철하게 따져볼 겨를도 없이 그저 흥분만 했던 것 같다. 하지만 조금만 눈을 돌려보면 우리는 다른 세계, 다른 시각을 만날 수 있다. 주지하듯 테러리즘은 폭탄을 지고 적진으로 뛰어드는 무모한 살상행위 만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그것은 글자 그대로 ‘이즘’, 즉 ‘주의’이다. 가령 우리가 맑시즘이나, 휴머니즘, 시오니즘을 이야기하는 것처럼 테러리즘은 양심이나 신념에 기초하여 나름 대로의 정의를 위해 목숨을 바치는 무슬림들이 선택한 삶과 저항의 방식인 것이다. 현재 우리가 목도하고 있는 테러리즘은 이슬람이란 종교와 자기 희생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정신은 오히려 성결하다고까지 말할 수 있는 것이다.

왜 아랍인들은 테러리즘을 선택할 수 밖에 없게 되었을까. 그것은 서구 세계에 의한 오랜 식민의 경험과 최근 한 세기 동안의 미국에 대한 적대감의 누적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물론 아랍계 내부의 경제적 빈곤과 좌절도 커다란 몫을 했다. 유럽 제국주의와 식민주의는 이슬람인을 동물 취급하며 적대적으로 대했으며 미국은 자신의 이익 때문에 아랍을 매우 중요한 지역으로 여기지만 이슬람 종교와 문화, 사람은 존중하지 않았다. 미국은 자유와 인권을 내걸었지만 중동의 부패한 독재 정권을 지지하고 민중을 외면했으며, 석유를 확보하기 위해 부패한 정권을 지지하고 군대까지 보냈다. 뿐만 아니라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분쟁에서 미국은 항상 일방적으로 이스라엘의 편을 들었으며 아랍의 이익에는 관심조차 없었다. 바로 이런 이유로 미국이 테러리즘의 공격 대상이 된 것이다. 미국은 자꾸만 테러리즘을 문화적 충돌이나 종교적 전쟁이 아니라 빈 라덴 등 극소수 테러 조직의 무력 행위로 축소시키려 하지만 실제 전쟁은 이슬람과의 전쟁으로 확대되어 가고 있다. 그것은 테러리즘의 근본을 애써 주목하지 않기 때문이다. 지금도 성전(지하드)을 준비하고 전사를 모으는 일에는 수 백 수 천의 젊은이들이 줄을 선다고 한다. 어제는 1만 여 명의 파키스탄 의용군이 소총과 흉기를 들고 아프간으로 들어갔다고 한다. 형제 자매가 죽어가는데 우리가 몰라라 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바로 여기에 테러리즘의 실체가 있다.

신앙과 민족과 적개심에 뿌리를 둔 테러리즘을 군사적 보복 공격으로 근절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설사 빈 라덴이 사라진다 해도 그와 같은 극단주의자들이 끝도 없이 나타날 것이기 때문이다. 지금 미국이 행사하고 있는 또 다른 폭력은 테러를 더욱 부추길 뿐이다. 테러리즘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그것을 배양한 문제 상황을 어떻게든지 개선해야 한다. 911 사태는 수많은 무고한 희생자를 통해 미국에 보낸 경고의 메시지이다. 거대한 제국, 미국이 제3세계 민족들의 권리와 생명을 함부로 유린해온 폭력과 억압의 체제를 청산하라는 것이다. 911 사태를 통해서도 그 메시지가 아직도 제대로 전달되지 않았다면 언제까지 테러가 계속될지 모른다. 테러리즘은 단순히 누구를 죽이기 위해 자신의 목숨을 던지는 테러 행위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테러리즘의 배후에는 이슬람 민중의 절박한 생존 현실이 놓여 있는 것이다. 자살 테러를 재미 삼아 하는 사람은 결코 없다. 하긴 누가 전쟁을 원하며 죽음를 바라겠는가. 살고 싶은 욕망, 가족과 평화롭게 지내고 싶은 욕망은 인간의 근본 의식이 아닌가.

지금 세계는 전쟁 중이지만 우리조차 전쟁을 바라 보거나 즐기고 있지 않나 생각해 보아야 할 때다. 나의 일이 아니라고, 이 땅에서 벌어지는 일이 아니라고 강 건너 불 구경하듯 텔레비전을 보고 있지는 않는지. 파괴의 현장에서 불안에 떨고 굶주리며 스러져 가는 한 사람 한 사람이 모두가 귀한 생명이고 하나님의 자녀가 아닌가. 기독교인이라고 무의식적으로 아랍인을 적대시하고 미국을 편들고 이스라엘을 지지하지는 않았는지 생각해 보아야 한다. 진정한 사랑은 어떤 종교를 가졌다 하더라도 그를 받아 들이며 함께 살아가는 것이다. 미국과 우리가 배워야 할 것도 바로 이러한 ‘공존’의 방법이다. 전쟁이 신념을 포기시킬 수는 없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