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ct 18, 2011 | 선교 전략/유시은이 만난 북한이탈주민
안녕하세요. 두 번째 만남이네요. 오늘은 북한이탈주민들이 어느 곳에 얼마나 살고 계신지 서로 나누고자 합니다. 그 전에 9월 말에 저는 미국에 살고 있는 북한이탈주민들이 함께 모이는 수련회에 다녀왔습니다. 그 수련회는 북한이탈주민들에게는 Home coming day와도 같은 날입니다. 첫날 저녁 예배, 목사님은 이런 말씀을 하시면서 설교를 시작하셨습니다. “이 세상에서 가장 중요한 것을 한 자로 말하면 무엇인지 아십니까?”예배에 참여한 우리들은 대답하지 못한 채 두리번거렸습니다. 답은 “바로 ‘나’입니다. 그러면 두 자로 말하면 무엇인지 아십니까? ‘또 나’입니다. 세 자로 말하면 ‘역시 나’입니다.”북한이탈주민들의 한 영혼 한 영혼을 귀히 여기시는 목사님의 이 말 한마디에 그곳에 모인 북한이탈주민들과 자원봉사자들의 마음이 일순간에 무장해제 되었습니다. 이렇게 귀한 북한이탈주민들은 한인 디아스포라가 있는 곳이라면 어디든 살고 계십니다.
우선, 대한민국에 살고 계신 북한이탈주민들은 2011년 4월 까지 21,191명입니다(한국, 통일부, 2011년 10월 17일 검색, http://www.unikorea.go.kr). 분단 이후, 북한 주민은 매년 10명 내외로 남한에 입국하였습니다. 남한 입국에 성공한 북한이탈주민들은 1989년까지만 해도 600여명이었으나 사회주의 체제가 붕괴되고 김일성 사망과 북한의 경제난 등 체제위기가 고조된 1990년대 이후 높은 증가세를 보여 현재 이만 명 시대가 되었습니다. 성별에 따른 현황을 살펴보면, 2001년까지 남성이 여성에 비하여 월등히 많았으나 2002년부터 여성이 급증하였습니다. 현재, 북한이탈여성들은 전체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림 1> 북한이탈주민 입국인원 현황
북한이탈여성이 남성에 비하여 월등히 많은 이유는 남성은 직장에 소속되어있어야 하기 때문에 여성이 남성에 비하여 이동할 수 있는 여지가 많습니다. 또한 인근 국가인 중국 동북 3성 지역의 농촌총각 문제도 북한 여성을 유입하는 원인이었습니다. 2003년 유엔난민기구(UNHCR)의 자료에 의하면 중국내 북한이탈여성이 10만 여명이라고 발표된 것도 그 근거를 제시합니다.
북한이탈주민들의 입국 연령을 살펴보면, 30대가 32%, 20대는 27%로 가장 많습니다. 19세 이하 청소년층은 16%로 2001년 북한이탈여성이 증가하면서 가족 구성원이 점차 늘었습니다. 이에 남한 정부는 남성 위주의 정착지원에서 가족 중심 및 청소년•여성 정착 지원으로 확대하고 있습니다.
북한이탈주민들의 남한 입국 증가와 더불어 2004년 미국의 북한인권법이 통과하면서, 북한이탈주민의 다국적, 다변화가 시작되었습니다. 이제는 한인 디아스포라가 거주하는 많은 나라에 북한이탈주민들이 함께 생활하게 되었습니다.
유엔난민기구(2010)는 북한 출신의 난민이나 망명 신청자가 전 세계적으로 1천명여명이 넘는다고 발표하였습니다.
국가
|
영국
|
독
일
|
네덜
란드
|
호주
|
미국
|
캐나다
|
노르
웨이
|
러시아
|
덴마크
|
스웨덴
|
아일
랜드
|
스위스
|
키르기스스탄
|
이스
라엘
|
소계
|
인원
|
581
|
146
|
32
|
25
|
25
|
23
|
14
|
14
|
9
|
8
|
6
|
4
|
3
|
2
|
917
|
주) 유엔난민기구. 2010. 자료
주) 독일, 미국, 캐나다의 경우 영주권을 취득한 탈북자는 본 통계에서 제외됨. 한겨레신문 인용. www.hani.co.kr, 2010년 9월 12일 검색
|
또한 제 3국에서 난민 지위자 및 망명 신청을 하고 있는 북한이탈주민 또한 매년 그 숫자가 늘어나 2010년에는 1,194명에 이르게 되었습니다<표 2>.
년도
|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2010
|
인원
|
67
|
72
|
330
|
349
|
412
|
403
|
502
|
842
|
1,097
|
1,010
|
1,194
|
주) 유엔난민최고대표사무소(UNHCR,
2010). 한겨레신문 인용.
www.hani.co.kr, 2010년 9월 12일 검색
|
주변의 많은 분들은 제게 북한이탈주민들을 만나보지 못했다고 하시며 어디에 얼마나 살고 계시는지 궁금해 하십니다. 돕고 싶지만 북한이탈주민들을 만날 수 없어서 그런 기회를 얻지 못하였다고 말씀하십니다. 그러나 북한이탈주민들을 직접 만나지 못하더라도 그들은 여러분 가까이 있습니다. 우리가 가족과 늘 함께 하지 못하더라도 항상 마음에 두고 기도하면 눈앞에 선하듯이 말입니다.
얼마 전, 시카고 수련회에서 만나 같은 방을 사용하게 된 자매가 제게 전화 한 통화를 했습니다. 이틀 동안 같은 방에서 생활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대화를 나누지 못하고 중보하지 못한 것 같아 헤어지면서, 그 자매에게 기도제목이 있으면 전화하라고 했는데 그 말을 마음에 두었나 봅니다. 그 자매는 남편의 형님이 북한을 탈북하기 위해 준비 중이며 안전하게 도착할 수 있도록 기도해달라고 했습니다. 생사를 위한 일에 기도로 동참할 수 있어서 감사했으며 이런 귀한 기도제목을 허물없이 나누어준 그 자매가 고마웠습니다.
새로운 터전에 정착하게 된 탈북 형제자매들은 참 자유와 정착을 희망하고 있습니다. 탈북 했으나 북한에서의 교육과 사상•문화에 매어 참 자유하지 못한다고 말합니다. 또한 새로운 땅에 정착하고 싶지만 사회문화적인 차이와 언어적 어려움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그들이 어디에 어떻게 살고 있는지 알지 못하고 그 이름도 알 수 없으나 하나님은 우리가 그들을 위해 진정으로 기도하기를 원하십니다. 또한 기도하는 심령에게 하나님의 사랑으로 더 깊이 교제하실 것을 믿습니다. 우리가 그들을 돕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우리에게 하나님의 사랑을 알게 하는 통로입니다.
유시은 자매는 연세대에서 통일학 박사학위를 받고 현재 Johns Hopkins Bloomberg School of Public Health에서 Post-doctor Fellow로 일하고 있다.
Oct 15, 2011 | 삶과 신앙/양혜원의 여성과 삶
이 글은 지난 6월에 청어람에서 했던 유진 피터슨 읽기에 대한 강의를 요약 정리한 것입니다. 앞으로 총 6회에 걸쳐서 연재할 예정입니다. 저는 14년째 기독교 서적을 전문으로 번역하고 있는 번역가 양혜원입니다. 제가 번역한 유진 피터슨의 책은 공역을 포함해서 총 8권입니다. 나열해 보면, 「교회에 첫발을 디딘 내 친구에게」(The Wisdom of Each Other), 「거북한 십대 거룩한 십대」(Like Dew Your Youth-Growing up with your Teenager), 「현실, 하나님의 세계」(Christ Plays in Ten Thousand Places)(공역), 「이 책을 먹으라」(Eat This Book), 「그 길을 걸으라」(The Jesus Way), 「비유로 말하라」(Tell It Slant), 「부활을 살라」(Practise Resurrection)(공역), 그리고 가장 최근작으로 「유진 피터슨: 부르심을 따라 걸어온 나의 순례길」(The Pastor: A Memoir)입니다. 저는 학자도 아니고 목사도 아니고, 그냥 번역가일 뿐입니다. 따라서 이 글은 한 저자의 글을 자신의 모국어로 옮기는 과정에서 생각하게 되는 몇 가지의 것들을 번역가 입장에서 다루어 본 것입니다.
4. 영성생활의 요소들: 인격성, 일상성, 인내와 기다림
이제 조금 더 구체적인 내용으로 들어가서 그렇다면 피터슨이 말하는 영성의 내용 혹은 특징은 무엇이냐에 대해서 이야기하겠습니다. 피터슨 자신이 이것이 특징이라고 짚어서 이야기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그의 책을 번역할 때 반복해서 등장하는 개념들이 분명히 있습니다. 기독교적 삶을 이야기할 때 그가 가장 많이 언급하는 특징으로 저는 인격성과 일상성 그리고 인내와 기다림을 꼽았습니다. (인내와 기다림은 인격성과 일상성의 특징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먼저 인격성입니다. 피터슨의 영성신학 시리즈를 번역하면서 이 단어를 정말 많이 접했습니다. 인격성, 관계성, 이 말이 안 나오는 데가 없습니다. 「그 길을 걸으라 」서문에서는 “인격성이 전부라고 말할 수 있는 복음”(14쪽)이라고 말합니다.「현실: 하나님의 세계」에서는 “하나님은 단연 인격적인 존재이시다. 또한 하나님은 언제나 관계 속에 계시는 하나님이다.…하나님은 우리에게 자신을 인격적인 존재로, 인격적 관계를 맺는 분으로 계시하신다.”(28-29쪽)라고 말하고,「이 책을 먹으라」에서는 “계시의 모든 부분, 모든 양상, 모든 형태는 인격적이다. 하나님은 본질적으로 관계적인 분이시다. 따라서 하나님이 무슨 말을 하시든, 무엇을 계시하시든, 우리가 무엇을 받든 간에 그것은 인격적이며 관계적이다.”(57쪽)라고 말합니다. 또 이렇게도 말합니다. “우상은 탈인격화된 하나님, 탈관계화된 하나님이다.…우상 숭배의 핵심은 탈인격화다.”(「현실: 하나님의 세계」, 563쪽)(여기에서 밑줄 친 부분은 제가 한 것입니다.)
다음은 일상성입니다. 일상성은 종교성과 대립되는 의미로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그러니까 ‘삶 자체’를 말하는 것이지요. 피터슨의 회고록에 보면 ‘Charity’라는 아이의 이야기가 나옵니다. 그 아이는 자신을 방문한 외할머니에게 이렇게 말합니다. “할머니가 계시는 동안에는 우리 하나님 얘기(godtalk) 하지 말아요, 네? 하나님은 어디에나 계시다고 나는 믿어요. 그러니까 우리 그냥 살아요.” 이 아이의 말을 통해 피터슨은 “하나님이 하나님 얘기로 비인격화되지 않고 자신들의 일상생활에, 말에서나 행동에서나, 하나님과 삶이 유기적으로 하나가 되는 그러한 일상생활에, ‘인격적으로 현존하시는 분’으로 이해되는 관계를” 이 아이가 요구하고 있음을 깨닫습니다. 저는 이 아이의 말에서 ‘우리 그냥 살아요’가 참 많이 와 닿습니다. 다시 한 번 솔기의 이야기로 돌아가게 됩니다. 존재와 행동이 분리되지 않는 자연스런 일치의 삶 말입니다.

마지막으로 인내와 기다림은 앞에서도 말씀드린 대로, 인격성과 일상성의 특징 혹은 속성입니다. 인격성과 일상성은 서두를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서두르면 인격성과 일상성을 놓치게 됩니다. 성급하게 목적에 도달하려고 할 때, 사람을 인격으로 보지 않고 동원할 숫자로만 보고, 목적 달성을 위한 도구로만 보게 됩니다.
일이 잘 풀리지 않을 때, 사람들은 인내하기보다는 갈아엎고 새로 시작하기를 좋아합니다. 새로 시작하는 일에는 흥분이 있습니다. 그러나 밀어버리고, 갈아엎고, 만날 새로 시작만 하는 삶은 기독교적 삶이 아니라고 피터슨은 말합니다.
“미국 교회는 새로운 출생이 주는 희열과 흥분에만 빠져 있다. 사람들을 교회로, 하나님 나라로, 큰 목적으로, 운동으로, 프로그램으로 끌어들이기에 급급하다.…미국인들은 일반적으로 성숙이 일어나는 환경에 순응하는 삶을 잘 견디지 못한다. 성숙이 일어나는 환경이란 조용하고, 명확하지 않고, 인내해야 하고, 인간의 통제와 관리에 종속되지 않는 환경이다. 미국 교회는 그러한 환경에 처하면 불안해한다.”「부활을 살라」서문에 나오는 말입니다.(밑줄은 제가 그은 것입니다.) 비단 미국교회만의 이야기는 아닙니다. 숫자 올리고, 동원하고, 사람을 잠시도 가만히 놔두지 못하는 것은 g한국교회의 특징이기도 합니다.
인격성, 일상성, 인내와 기다림. 너무도 상식적인 말들입니다. 영성은 신비로운 어떤 것이 아닙니다. 피터슨이 기도에 대해서 한 다음의 말이 저는 영성에도 그대로 적용된다고 생각합니다. “기도는 신비스럽거나 무슨 비법과도 같은 영성이 아니다. 기도는 평범한 행위다.…그것은 우정의 행위처럼 간단하다.…하나님께 드리는 우리의 기도에서 일어나는 일은 우리가 사는 동네에서 그리고 가족 안에서 늘 일어나는 일들과 그리 다르지 않다.”(「비유로 말하라」, 245쪽)
Oct 10, 2011 | 선교 전략/유시은이 만난 북한이탈주민
여러분을 주님의 이름으로 축복하며 동역자로 만나게 하신 하나님께 영광을 돌립니다. 이 거룩하고 축복된 영적 전쟁에 여러분을 초대하며 함께 동역하게 되어 반갑슴니다. 저는 북한이탈주민 덕분에 통일학 박사 학위를 받은 유시은입니다. 오늘은 하나님께서 제게 주신‘북한이탈주민과의 만남’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북한이탈주민들이 어디에 얼마나 어떻게 살고 계신지 모릅니다. 저 또한 10년 전에는 북한이탈주민이 제 주변에 살고 계신지 몰랐습니다. 저는 상담사에 대한 비젼을 품고 낮에는 대학에서 직장생활을 하고 밤에는 대학원에서 상담교육 석사과정을 공부했습니다. 졸업 후 상담 연수를 마쳤을 때 한 지인의 소개로 통일부 하나원에 상담심리사로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그 당시 저는 북한이탈주민과 북한에 대한 지식도 없었고 하나원이 고아원인줄 알았습니다. 하나님은 아무 능력도 없으며 준비도 없으며 마음도 없었던 저를 하나원이라는 나무에 접붙이셔서 북한이탈주민을 만나게 하셨습니다.

하나원 입사 직후 제 몸무게는 10kg 정도나 빠졌습니다. 하루 하루 어떻게 이들을 만나 상담을 해야 할지 몰랐습니다. 세상 경험이 없고 미혼이며 젊은 여성인 제가 그들의 눈에 어떻게 보였을지 지금도 생각하면 아득하기만 합니다. 북한이탈주민들은 사선을 넘어 중국 땅에서 언제 잡혀 죽을지 모르는 그 불모의 땅에서 살아남은 생존자입니다. 산전수전 공중전까지 경험한 북한이탈주민들의 눈에 저는 그저 아무 것도 모르고 어려움도 겪지 않은 젊은 남한 여성에 불과했습니다.
북한이탈주민들은 저와 개인 상담을 마칠 즈음 “제 얘기가 소설같겠지요.이해하지 못할 겁니다. 겪어보지 않은 사람들은 모릅니다.”라고 말하곤 하였습니다. 그렇습니다. 북한이탈주민들이 남한에 입국하기 전까지의 모진 여정을 제가 어떻게 이해할 수 있겠습니까. 그들은 소설 속 주인공처럼 갖은 역경 속에서 오뚝이처럼 일어선 사람들이며 말로 다 표현할 수 없는 고난의 순간을 이겨낸 사람들입니다.
저는 하나님께 ‘아무 것도 모르는 제게 이런 분들을 왜 주셨나요?저는 할 수 있는 것이 아무 것도 없습니다. 저를 제발 다른 곳으로 옮겨주세요.’라고 기도했습니다. 도무지 저를 하나원에 보내셔서 북한이탈주민들을 만나게 하신 하나님의 의도를 몰랐고 제게 환난을 주시는 것 같아 원망스럽기도 하였습니다. 그 기도에 하나님은 “네가 97년도에 북한을 위해 기도한 것을 내가 기억하고 있다.”고 말씀하셨습니다. 또 며칠 후 하나님은 제게 꿈을 보여주셨습니다. 끝없는 해안가를 누군가 저를 엎고 걷고 있었으며 날카로운 화살이 계속 저희를 향해 날라 왔습니다. 그 화살은 제 살갗을 스치갈 때 아팠지만 제게 큰 상처를 주지는 못했습니다. 그때 저를 엎고 계신 그분이 제게 이런 말씀을 하시는 것 같았습니다. ‘너는 내 등에 업혀 있으니 다만 네게 스쳐지나갈 뿐이다. 모든 화살은 내가 다 맞을 것이다.’ 이 꿈이 있기 전까지 저 혼자 모든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무거운 짐을 지고 있다고 원망했습니다. 기도를 하여도 하나님은 아무 대답도 없고 저를 도와주시지 않으며 다만 저 혼자 모든 화살을 맞고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결코 저를 혼자 두지 않으셨습니다. 제게 북한이탈주민들이 원망의 대상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주신 선물임을 깨닫게 하는 순간이었습니다.
대학에서 편안하게 일하던 제게 상담이라는 비전을 주시고 북한이탈주민들을 만나게 하시면서 저는 민족을 품게 되었고 하나님의 깊은 사랑과 긍휼함을 아주 조금씩 깨닫게 되었습니다. 북한이탈주민들이 아니었더라면 하나님의 눈물과 심장 떨리는 아픔과 민족에 대한 사랑을 알지 못했을 것입니다.
하나님은 각 사람들에게 각각의 부르심을 주십니다. 그러나 그 부르심의 중심에는 하나님의 사랑 안에서 교제하며 하나님께서 사랑하시는 그 사람을 섬기기를 원하십니다. 제 부르심은 북한과 북한이탈주민을 향한 것이며 그들을 통해 역사하시는 하나님의 깊은 사랑이 오늘도 저를 일깨우며 그 부르심에 응답하고자 달려갑니다.
여러분, 하나님께서 북한에 대한 사랑을 여러분에게 품게 하시고 부르십니까. 그 부르심에 아멘 하십시오. 하나님께서 우리를 위해 예수 그리스도를 대신 죽게 하셔서 새생명을 주신 것처럼 우리 또한 북한 땅을 위해 여러분을 내어 드리십시오. 아멘으로 화답하셨습니까.북한과 북한이탈주민들을 위해 기도해주십시오. 기도는 북한 땅을 하나님께 드리는 거룩한 예배입니다. 예수 그리스도만이 북한 땅을 살리며 그들에게 자유를 줄 수 있는 생명의 길입니다. 기도하고 계십니까. 마음과 물질로 헌신해주십시오. 북한과 북한이탈주민들은 여러분 가까이에 있습니다.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일용할 양식을 채워주시는 것처럼 여러분 또한 북한주민과 북한이탈주민들의 필요를 채울 수 있습니다.
다음 글에는 여러분들이 함께 중보하며 사랑을 나눌 북한이탈주민들이 어디에 얼마나 살고 계신지 알려드리겠습니다.
유시은 자매는 연세대에서 통일학 박사학위를 받고 현재 Johns Hopkins Bloomberg School of Public Health에서 Post-doctor Fellow로 일하고 있다.
Sep 30, 2011 | 삶과 신앙/양혜원의 여성과 삶
이 글은 지난 6월에 청어람에서 했던 유진 피터슨 읽기에 대한 강의를 요약 정리한 것입니다. 저는 14년째 기독교 서적을 전문으로 번역하고 있는 번역가 양혜원입니다. 제가 번역한 유진 피터슨의 책은 공역을 포함해서 총 8권입니다. 나열해 보면, 「교회에 첫발을 디딘 내 친구에게」(The Wisdom of Each Other), 「거북한 십대 거룩한 십대」(Like Dew Your Youth-Growing up with your Teenager), 「현실, 하나님의 세계」(Christ Plays in Ten Thousand Places)(공역), 「이 책을 먹으라」(Eat This Book), 「그 길을 걸으라」(The Jesus Way), 「비유로 말하라」(Tell It Slant), 「부활을 살라」(Practise Resurrection)(공역), 그리고 가장 최근작으로 「유진 피터슨: 부르심을 따라 걸어온 나의 순례길」(The Pastor: A Memoir)입니다. 저는 학자도 아니고 목사도 아니고, 그냥 번역가일 뿐입니다. 따라서 이 글은 한 저자의 글을 자신의 모국어로 옮기는 과정에서 생각하게 되는 몇 가지의 것들을 번역가 입장에서 다루어 본 것입니다.
3. 유진 피터슨과 번역
아시다시피 유진 피터슨을 유명하게 해준 것은 ‘현대 미국어로 번역한’「메시지」성경입니다. 그는 처음부터 성경을 번역하겠다는 생각을 가지고 번역한 것은 아니었습니다. 그에게 번역은 목회의 일환이었습니다. “이 고대의 히브리어와 헬라어 원본이 가지고 있는 실제적이고 일상적인 의미를 우리 교인들이 평생을 사용해온 미국어의 어휘와 은유와 통사로 전달하기 위한 현장의 목회 활동”(「유진 피터슨」, 475쪽)이었습니다.
그는 자신의 번역 활동에 대해 이렇게 말합니다. “메시지는 30년간의 목회 토양에서 자랐다.…나는 두 언어의 세계에서 살았다.성경 언어의 세계와 현대 언어의 세계다. 나는 언제나 그것이 같은 세계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내 회중은 그렇게 보지 않았다.그래서 나는 필요에 의해 ‘번역가’가 되었다 (물론 당시에는 내가 번역가라는 생각이 전혀 없었다). 나는 날마다 두 언어의 경계에 서서 하나님이 우리를 창조하시고 구원하시고, 치유하시고 축복하시고, 심판하시고 다스리시는 데 쓰시는 성경의 언어를, 우리가 잡담을 하고 이야기를 들려주고, 길을 안내하고 사업을 하고, 노래를 하고 아이들과 이야기하는 데 쓰는 오늘의 언어로 번역했다.”(「유진 피터슨」, 476-477쪽)
여기에서 피터슨은 ‘오늘의 언어’로 번역했다고 합니다. 이것은 오늘 우리가 쓰는 일상 언어를 말하는 것입니다. 피터슨은 “진정한 번역은 그 쓰인 글, 전해진 말에 대해, 눈물과 웃음, 가슴과 영혼으로 전인을 참여시키는 이해를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고 말합니다. (「이 책을 먹으

라」, 207쪽) 그렇게 눈물과 웃음, 가슴과 영혼으로 전인을 참여시키려면 듣는 사람이 잘 알아들을 수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잘 알아들을 수 있게 하려면 사람과 사람이 서로 사랑하고 일하며 살아가는 데에 쓰는 일상적인 언어를 써야 합니다. 피터슨은 「메시지」를 번역할 때, “달려가면서도 읽을 수 있게”(하박국 2:2) 하기 위해서 번역했다고 합니다. 달려가면서도 읽으려면 말이 쉬워야 하고 바로바로 와 닿아야 합니다.
피터슨에게 일상 언어는 중요합니다. 아니, 기독교인에게 일상 언어는 중요합니다. ‘단절 없이 매끄럽게 이어지는’ 그러한 삶을 살려면 우리의 언어도 일상과 유리되지 않은 언어여야 합니다. 성경도 일상의 언어로 기록되었습니다. 그런데 교회에서 우리는 언어를 ‘상향 모독’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상향 모독은 “언어가 추상적으로 부풀려지거나 레이스처럼 엮인 거미집처럼 비실체적인 것이 될 때 일어난다.”고 피터슨은 말합니다(「이 책을 먹으라」229쪽). 이것은 곧 언어를 인격적 관계와 구체적 맥락을 떠나 추상적이고 모호하게 만드는 것인데, 성경과 관련해서는 하향 모독 보다는 이러한 상향 모독의 위험이 큽니다. 왜냐하면 상향 모독이 간파하기 더 어렵기 때문입니다. “화가 나서 ‘빌어먹을 하나님!’(God dammit!)하고 내뱉는 말과 같은 공공연한 신성모독은, 예를 들어 떨리는 목소리로 ‘존귀하고 높으시며, 거룩하고 비길 데 없는 전능의 하나님…’이라고 읊조리는 아첨 떠는 경건보다 훨씬 더
이목을 끈다. 그러나 역설적이게도 후자가 오히려 전자보다 더 심하게 언어를 모독하는 것일 수 있다.”(「이 책을 먹으라」, 230쪽)
설교할 때나 대표 기도를 할 때 그리고 교회 사람들과 대화할 때, 우리는 얼마든지 이러한 상향 모독의 유혹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렇게 말하면 거룩해 보일 거라고 착각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피터슨은 말합니다. 상향으로 부풀려진 말은 “마음에 뿌리를 두지 못한다. 인간의 일상성에 기초하지 못한다. 그런 말은 더 이상 말씀을 듣고 반응하는 데 유익을 주지 못한다.” 따라서 번역은 “상향 모독에 대항하는, 그러니까 우리의 평범한 삶을 표현하는 방식과 더 이상 맞지 않는 과정과 술책으로 언어가 부풀려지는 것에 대항하는 최우선 방어 중 하나다. 그리고 과장은 언제나‘ 틈을 노리며’ 언어의 문 앞에 웅크리고 있기 때문에 번역가들은 그들의 언어가 우리가 자녀들이나 친구들과 이야기할 때 사용하는 일상어의 울림을 잃지 않도록 언제나 경계해야 한다.”(「이 책을 먹으라」, 232-233쪽)
이 말은 하나님의 말씀을 풀어서 전하는 설교자들에게만 국한된 말이 아닙니다. 엄밀한 의미에서 우리 모두가 자신의 삶과 언어로 하나님의 말씀을 번역해내는 하나님의 번역가들입니다. 따라서 부풀려지지 않고 일상어의 울림을 잃지 않는 번역은 우리 모두의 책임입니다.
Sep 23, 2011 | 삶과 신앙/양혜원의 여성과 삶
이 글은 지난 6월에 청어람에서 했던 유진 피터슨 읽기에 대한 강의를 요약 정리한 것입니다. 저는 14년째 기독교 서적을 전문으로 번역하고 있는 번역가 양혜원입니다. 제가 번역한 유진 피터슨의 책은 공역을 포함해서 총 8권입니다. 나열해 보면, 「교회에 첫발을 디딘 내 친구에게」(The Wisdom of Each Other), 「거북한 십대 거룩한 십대」(Like Dew Your Youth-Growing up with your Teenager), 「현실, 하나님의 세계」(Christ Plays in Ten Thousand Places)(공역), 「이 책을 먹으라」(Eat This Book), 「그 길을 걸으라」(The Jesus Way), 「비유로 말하라」(Tell It Slant), 「부활을 살라」(Practise Resurrection)(공역), 그리고 가장 최근작으로 「유진 피터슨: 부르심을 따라 걸어온 나의 순례길」(The Pastor: A Memoir)입니다. 저는 학자도 아니고 목사도 아니고, 그냥 번역가일 뿐입니다. 따라서 이 글은 한 저자의 글을 자신의 모국어로 옮기는 과정에서 생각하게 되는 몇 가지의 것들을 번역가 입장에서 다루어 본 것입니다.
2. 유진 피터슨과 영성
지난 번 글에서도 말했지만,피터슨이라는 작가 앞에 따라붙는 수식어는‘깊은 영성의 소유자’ 혹은 ‘영성의 대가’입니다. 그렇다면 피터슨이 말하는 영성은 무엇일까요? 우선 영성이라는 용어부터 좀 살펴보면, 영어로 ‘spirituality’는 기독교만의 용어가 아닙니다. 삶의 의미를 찾고, 자기를 넘어서는 어떤 대상을 찾는 모든 탐색과 추구와 과정들을 다 영성이라고 부릅니다. 반면에 한국어로 ‘영성’이라는 단어는 주로 기독교 계통에서 씁니다. 불교에서는 영성이 깊은 사람을 ‘불심’(佛心)이 깊다고 하지 영성이 깊다고 하지는 않으니까요. 아마 영어로 하면 ‘불심’도 Buddhist ‘spirituality’가 되지 않을까 합니다.
미국 사회에서 일어나는 영성에 대한 관심을 피터슨은 이렇게 표현합니다. “인간에겐 영속적이고 영원한 것에 대한 갈증과 갈망이 있다는 사실이 널리 인정받고 있고 공공연히 표현되고 있다. 자신의 삶이 직업 역할과 시험 등수로 축소되는 것을 완강히 거부하는 태도가 널리 퍼져 있다. 그러나 문제는, 모든 사람이 자신에게 맞는 영성을 스스로 만들어낼 것을 권유받고 있다는 점이다.”(「현실, 하나님의 세계」, 25쪽)
‘자신에게 맞는 영성을 스스로 만들어’내다보니 필연적으로 우왕좌왕하게 됩니다. 그 우왕좌왕하는 모습을 피터슨은 곰돌이 푸우의 이야기에 빗대어 설명합니다. 북극(North Pole)이 무엇인지도 모르고 북극을 찾아 나선 곰돌이 푸우와 그 일당들. 그들은 한참을 우왕좌왕하다가 푸우가 들고 있는 막대기(pole)를 보고 드디어 북극을 찾았다고 생각합니다. 그들의 리더 격인 크리스토퍼 로빈이 선언합니다. “이제 탐험은 끝났어. 네가 북극을 찾을 거야!” 피터슨은 이 이야기에 이렇게 덧붙입니다.

“내가 ‘보았던’ 것은 모호하게 정의된 영성(북극)을 찾아다니는 매력적인 인물들이 살고 있는,내가 속한 문화였다.이따금씩 그러한 인물들 중 한 사람이 무엇인가를 집어 들면 누군가가 그것을 보고 ‘바로 저거다!’라고 말한다. 그것은 정말로 ‘저것’처럼 보인다. 그러고는 누군가가,대개는 영적 권위를 가진 어떤 인물(크리스토퍼 로빈)이 거기에다가 팻말을 단다. ‘영성’. 그리고 그들은 모두 집으로 돌아간다. 다음 탐험이 제안될 때까지.”(「그 길을 걸으라」, 343쪽)
이러한 문화적인 분위기 속에서 피터슨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영성 신학’을 제안합니다. “문화에 의해 규정된 역할이나 기능을 넘어서는 삶을 살려는 열의가 널리 퍼져 있는 것은 틀림없는 사실이다.그러나 이러한 열의는 결국,문화가 정해놓은 한계들에 갇힌 영성을 낳는 것으로 귀결되고 말 때가 많은 것 또한 사실이다. 이런 이유로, 나는 성경에 계시되어 있는 산 경험과, 우리 믿음의 조상들의 풍부한 이해와 실천을 다루려는 뚜렷한 기독교적 시도를 일컫는 말로서 ‘영성 신학’이라는 말을 선호한다. 현대 세계의 초점 없이 산만한 ‘의에 대한 주림과 목마름’속에서 뚜렷한 기독교적 경험을 일컫는 말로서 말다.”(「현실, 하나님의 세계」, 25-26쪽)

그는 이어서 ‘영성’과 ‘신학’이라는 단어의 관계를 이렇게 설명합니다. “‘신학’은 우리가 하나님께 기울이는 주의, 성경과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계시된 하나님을 알고자 우리가 기울이는 노력을 가리킨다. ‘영성’은, 하나님이 자신과 자신의 일에 대해 계시하시는 모든 것은 평범한 사람들이 자신의 가정과 일터에서 살아낼 수 있는 것들이라는 주장을 담고 있다. ‘영성’은 ‘신학’이 하나님과 멀찍이 거리를 둔 채 하나님에 대해 생각하고 말하고 쓰는 것으로 타락하지 않게끔 해준다. ‘신학’은 ‘영성’이 그저 하나님에 대한 자신의 느낌과 생각을 생각하고 말하고 쓰는 것이 되지 않게끔 해준다.이 두 단어는 서로를 필요로 한다.”(「현실, 하나님의 세계」, 26쪽)
이러한 영성 신학이 삶에서 나타나면 어떤 모습일까요? 저는 그것을 가장 잘 설명해주는 형용사로, ‘seamless’를 꼽습니다. 피터슨은 자기 아내의 부모님, 즉 장인 장모를 묘사할 때 이 단어를 씁니다. “그분들의 기독교 신앙은 삶에 철저하게 통합되어 있었다.…어쩌면 기독교 신앙이 그분들의 삶에 통합된 것이 아니라 그분들의 삶이 철저하게 기독교 신앙에 통합되었던 것인지도 모른다. 그분들의 삶과 신앙은 서로 단절 없이 이어져(seamless) 그분들의 존재에 진정성을 더했다.”(「유진 피터슨」, 308쪽)
‘seam’은 아시다시피 솔기입니다. 우리가 입는 옷에는 솔기가 있습니다. 옷의 앞판, 뒤판, 소매를 이은 자리입니다.솔기는 도로의 과속방지턱처럼 거치적거리는 부분입니다.매끄럽지가 않습니다.단절이 느껴집니다.그런데 그러한 솔기가 없는 매끄러운 옷을 한번 상상해 보십시오.자신이 믿는 바와 아는 바가 하나 된 모습,존재와 행함에 아무런 경계가 느껴지지 않는 자연스러움.피터슨이「현실,하나님의 세계」에서 제러드 맨리 홉킨스의 시를 빌어 말하고자 했던 것도 바로 그것입니다. 우리 안에 계신 그리스도가 우리를 통해서 너무도 자연스럽게 표정으로, 사지의 움직임으로, 아름답게 나타나시는데, 그게 인위적이지 않고, 그 시에 등장한 물총새와 잠자리와 돌과 현악기와 종처럼,자신이 하는 일이 곧 자신인,그런 모습으로 나타난다는 것이지요. 피터슨은 그러한 일치의 삶이 바로 우리가 예수를 믿으
면서 살고자 하는 삶의 모습이고,우리의 목적지라고 말합니다.
Sep 18, 2011 | 기독교적 세계관/이인엽의 예수의 국제정치학
0. 들어가며
최근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문제가 다시 여론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가 9월13일 뉴욕에서 개막한 제 66회 유엔총회에서, 194번째 회원국으로 승인 신청서를 제출하기로 했기 때문입니다. 팔레스타인 문제는 미국의 주도하에 여러 협상 시도가 있었지만, 1967년 이래 팔레스타인 인들이 살고 있는, 가자 지구(Gaza district)와 서안(West Bank)은 이스라엘 군에 의해 식민지에 가까운 점령상태로 남아있고, 팔레스타인의 테러공격과 이스라엘의 군사공격이 계속 되어 왔는데, 예를 들어 2008년의 가자 공습에서는 이스라엘의 공격으로 대부분이 비무장 민간인이었던 1380여명의 사망자가 발생하고 (이스라엘측 사망자 13명), 이스라엘은 민간인과 유엔학교, 유엔 구호트럭, 비무장 국제 구호선까지 무차별 공격함으로서, 미국을 제외한 국제 여론의 심각한 비난을 받기도 했습니다. 이 와중에도 이스라엘은 분리장벽을 세우고 정착촌을 늘려나감으로서, 평화 협상은 최근 1년여간 중단된 상태였습니다.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수반 압바스 (좌), 오바마와 네탄야후 (우)
결국, 이스라엘과의 협상에 진전이 없고, 미국이 어떤 역할도 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팔레스타인은 유엔에 직접 독립국 승인을 요청하게 된 것이지요. 물론 언제나 일방적으로 이스라엘을 지지해온 미국은, 안전보장이사회에서 거부권을 행사할것을 확고히 했으나, 팔레스타인 측은 유엔 회원 192개국 가운데 140여 개국에서 독립을 지지한다는 지지를 얻어냈다고 밝힐 정도로, 대다수 국가들이 팔레스타인의 독립에 지지를 보내고 있는 상황입니다. 미국의 안보리 거부권으로 독립국가 자격은 얻지 못하겠지만, 만일 유엔 안보리 15개 회원국 중 최소 9개국이 승인하고, 유엔총회에서 193개 회원국 중 3분의2 찬성을 얻으면 팔레스타인은 `표결권 없는 비회원국 옵서버 단체(entity)’에서 `표결권 없는 비회원국 옵서버 국가(state)’ 지위로 승격될 수 있는데, 이렇게 되면 국제형사재판소(ICC)와 유엔 산하 국제사법재판소(ICJ)등에 이스라엘 관련 문제를 제소할 권한을 갖게 되어 이스라엘에게 위협이 될 수 있고, 이렇게 팔레스타인 독립문제가 유엔에서 논의되고, 대다수의 국가들이 지지를 보내는 것 만으로도, 중동 정세에는 상당한 파장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미국은 왜 일방적으로 이스라엘을 지지하고 있는 것일까요? 이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사건이, 지난 5월 1일 오사마 빈 라덴이 사살된 후, 19일에 있었던, 오바마 대통령의 대중동연설(Middle East Speech)과 이에 대한 반응입니다. 오바마는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해결과 평화 정착을 위해서 ‘합의에 따른 일부 영토교환을 전제로 한 1967년 이전 경계(the 1967 lines with mutually agreed swaps)’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협상의 출발점이 되어야 한다고 언급 했습니다. 사실 이 주장은 과거 조지 부시나 힐러리 클린턴 등 다른 정치인들도 언급한 바 있고, 유엔이나 국제사회에서도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새로울 것 없는 내용입니다. 사실 오바마의 개혁적 성향을 보고 뭔가 팔레스타인 문제의 진전을 위해 과감하고 적극적인 조치를 기대했던 팔레스타인과 아랍국가들은, 내실없는 오바마의 발언에 큰 실망을 표현했습니다. 그러나 연설이 끝나자마자, 미 공화당 의원들을 비롯한 보수 인사들은 오바마의 주장을 강력하게 비판하기 시작했는데, 예를 들어 차기 공화당 대선주자인 미트 롬니(Mitt Romney)는 ‘오바마가 이스라엘을 달리는 버스 아래 던져 넣었다(President Obama has thrown Israel under the bus)’고 했고, 역시 대선주자인 미셸 바크만은 ‘오바마는 또 한번 우리의 친구이자 동맹국인 이스라엘을 배신했다(Once again, President Obama betrayed our friend and ally Isael)’라고 언급했습니다. 이러한 비난여론을 의식했는지, 오바마는22일에 유명한 이스라엘 로비단체인 AIPAC(American Israel Public Affairs Committee)를 방문해서 이스라엘에 대한 미국의 철통같은 지지는 변함 없다며, 발언의 파장을 진화하기에 바빴습니다.[ii]

AIPAC을 방문하여 연설하고 있는 오바마
또한 미국을 방문한 벤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오바마 연설 바로 다음날인 20일 오바마와의 대담에서 거의 두시간 동안 이스라엘의 역사와 현실을 강의하듯 이야기하면서 이스라엘은 1967년 이전 경계로 돌아갈 수 없고 그것은 ‘방어가 불가능하다(indepensible)’고 주장해, 그 전날 오바마의 발언을 대놓고 반박하기도 했으며, 오바마가 유럽을 방문중이었던 5월 24일 미국 상·하원 합동연설에서도 오바마의 발언을 거듭해서 비판했는데, 놀랍게도 공화당 민주당을 막론하고, 상·하원 의원들은 자신들의 대통령의 주장을 반박하는 네타냐후의 발언이 끝날때마다 우레와 같은 기립박수를 31번이나 보내서, 마치 선채로 연설을 듣는 듯 보였고, 마치 네타냐후 지지집회 같은 분위기를 연출했다고 합니다. 결국 오바마의 발언으로 인한 파장은, 미국의 국내정치를 고려한 공화당의 오바마 때리기이기도 하지만, 전임자인 조지부시와 같이 이스라엘에 충성에 가까운 일방적 지지를 보내지 않으면 즉시 이스라엘에 대한 배신자로 비난을 받는 이상한 미국 정치 상황을 통해, 공화당과 민주당 상관없이, 미국의 정치인들이 얼마나 일방적으로 이스라엘을 지지하고 있는지 잘 보여준다고 하겠습니다.
미 상하원 합동연설에서 강한 어조로 오바마의 중동연설을 반박하는 네탄야후
그렇다면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에서 ’1967년 이전 경계’라는 것이 대체 무엇이며 어떤 의미가 있는 걸까요? 또한 이스라엘은 어떤 나라이길래, 그 총리가 세계 최강대국 미국의 대통령에게 두시간동안 훈계하듯 이야기 할 수 있고, 미국의 국회의원들 조차 자신들의 대통령이 아닌 이스라엘 총리의 편을 들고 열광적인 지지를 보내게 만드는 것일까요? 미국의 일방적인 친이스라엘 정책의 원인은 무엇일까요?
지난 번 글에서는, 빈 라덴의 죽음과 관련해 과거 미국의 대 중동정책의 문제점들을 소개했었는데, 글을 읽은 몇 분들이,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문제가 어느 정도 심각하길래, 다른 중동국가들이나 이슬람 테러조직들이 언제나 그 문제로 미국을 비난하는지 궁금하다고 물어오시기도 했습니다. 실제로 세계의 화약고인 중동문제의 뿌리에는, 언제나 ‘석유’ 문제와 함께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문제’가 있습니다. 그리고 미국의 전폭적인 친이스라엘 정책의 뒤에는, AIPAC으로 대표되는 미국내 유대인들의 로비가 있고, 또한 일방적으로 이스라엘을 지지하는 보수기독교인들의 영향력이 상당히 작용하고 있습니다. 잘 알다시피, 미국과 한국의 보수 기독교인들 상당수가, 팔레스타인의 역사나 현실에 대한 충분한 이해 없이, ‘이스라엘은 하나님의 백성이기에, 이스라엘을 지지하는 것이 하나님의 뜻이 아니냐”는 지극히 단순한 생각을 갖고 있습니다. 이런 점에서, 이번 글에서는 가능한 알기쉽게, 이스라엘–팔레스타인 갈등과 현실, 그리고 미국내 이스라엘의 로비와 그 문제점을 소개해 보고, 성경적 입장이 과연 어떤 것인가에 대해 고민해 보려고 합니다.
1. 이스라엘–팔레스타인 갈등의 역사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이슈를 생각하면, 먼저 기독인들은 우리에게 친근한 구약성경의 역사를 기억하고, 또한 홀로코스트와 같은 유대인 박해의 역사를 떠올립니다. 성경의 백성이라는 친근함, 그리고 안네프랑크의 일기나 쉰들러스리스트와 같은 영화를 통해 유대인들이 겪은 비참한 역사가 잘 알려져 있기에, 심정적으로 이스라엘의 편이 되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이스라엘 건국과 그 이후 팔레스타인과의 갈등의 역사는 의외로 잘 알려져 있지 않다는 생각이 듭니다. 오바마가 언급한 ‘1967년 이전 경계’가 무엇인지 알기 위해서 역사적 배경을 간략히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iii]
팔레스타인의 역사는 중동전쟁의 역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많은 전쟁이 있었고, 그에 따라 영토와 경계에 많은 변화가 있었는데, 붉은색은 이스라엘의 영토, 파란색은 팔레스타인 영토로 표시된 다음의 지도는 이스라엘 영토가 팔레스타인에서 지속적으로 확장되가는 것을 잘 보여줍니다.

이스라엘은 1948년 5월 14일 건국 되었는데, 이스라엘 건국 하면, 마치 빈 땅에 나라를 세운 것처럼 생각하는 분들도 있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이스라엘은 거의 2천년 전에 로마에 의해 팔레스타인에서 쫓겨나 세계 각지에 흩어지게 되었고, 그 땅에서는 아랍인들이 자리를 잡고 살고 있었습니다. 팔레스타인에 살고 있던 아랍인들은 1차대전 이후 영국의 위임통치를 받고 있었는데, 아랍인들의 군사협력이 필요했던 영국은 이들에게 맥마흔 선언을 통해 독립을 약속합니다. 동시에 전쟁을 위해 로스차일드 가문과 같은 시오니스트들의 지지가 필요했던 영국은1917년 밸푸어 선언을 통해 팔레스타인에 유대인 국가 건설을 지지한다고 또 다른 약속을 한 바 있었습니다. 지킬 수 없는 두가지 약속을 한 셈이고, 한입으로 두 말을 한 것이지요. 이후 유럽과 러시아로 부터 팔레스타인으로 유대인들이 이주해 오기 시작하고, 결국 유엔은 1947년 11월 팔레스타인의 약 56%를 유대 국가에, 약 43%를 아랍 국가에 할당하라고 결정했는데, 아랍인들은 분할안을 거부하고 유대인들은 받아들여 1948년 이스라엘을 건국합니다. 중요한 것은 당시 팔레스타인 인들은 영토의 대부분인 87.5%를 소유하고 있었고, 유대인들은 6.6%만을 소유하고 있었으니 팔레스타인인들의 관점에서 보면 56대43으로 땅을 나누라는 유엔의 결정은 팔레스타인들의 땅을 떼어 유대인들에게 주라는 것과 같았다는 점입니다.
2천년간 세계 각지에서 수난을 당한 유대인들이 구약성서의 땅에 자신들의 나라를 세우고자 했던것도 이해가 가는 일이지만, 그 땅에는 이미 2천년동안 팔레스타인인들이 자리를 잡고 살고 있었고, 이들의 입장에서는, 이미 살고 있던 자기들의 땅을 이스라엘과 나눠야 하는 이상한 상황이 된 것이지요. 굳이 비유를 하자면, 갑자기 내일 일본이 임나일본부설(고대 한반도 남부를 일본이 정벌해 식민지를 세웠다는 주장)을 주장하면서 남한 영토의 절반을 요구하고 거기에 일본인들을 이주시키기 시작했다고 생각해 보면 우리가 어떻게 반응할까요? 아니면 우리가 지금 고구려 역사를 근거로 중국에 만주땅을 요구하고 주민들을 이주시키기 시작한다면 중국이 가만히 있을까요? 상황이 똑같지는 않지만, 이스라엘의 건국은 팔레스타인 인들에게 이러한 심각한 상황이었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결국 이러한 유엔의 결정에 분노한 주변의 아랍국가들은 이스라엘을 공격해 이스라엘 건국 직후 1948년에 1차중동전쟁이 발생하는데, 여기서 이스라엘이 승리를 거두게 됩니다. 그 결과 이스라엘은 유엔에 의해서 할당된 영토보다도 훨씬 많은 팔레스타인의 78%를 장악하게 되고, 나머지 22%는 가자(Gaza)와 서안(West Bank)으로 나눠져서, 각각 ‘가자’는 이집트의 통치하에, ‘서안과 동 예루살렘’은 요르단의 통치하에 1967년 6월4일까지 놓여있게 됩니다. 예루살렘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모두가 포기할 수 없는 지역이기 때문에 양측에 이스라엘의 서예루살렘과 팔레스타인의 동예루살렘으로 분할됩니다. 결국, 이것이 바로 오바마가 언급한 ‘1967년 이전 경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뉴스에서 자주 언급되는 가자와 서안(웨스트 뱅크)이 구체적으로 어디를 말하는가 궁금하셨다면 아래 지도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가자’지구는 우리가 잘 아는 삼손과 들릴라 이야기의 배경이 된 성경의 ‘가사’이며 팔레스타인이라는 명칭도 블레셋에서 기원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