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문희] 공립학교와 사립학교 어디에 아이를 보내고 싶으세요?

이코스타 2003년 8월호

한국에서 이민 온지 얼마 안 되는 분이 언젠가 교회 친교 시간에 이런 질문을 했습니다. “우리가 미국에 온지 얼마 안 되어서 이 지역을 잘 모르는데, 음, 이 지역 학군은 어때? 우리는 아이가 둘이 있는데, 애들 교육문제에 대해서 도움이 좀 필요할 것 같아서 ……” 저는 이렇게 대답했습니다. “아, 네. 뭐 이 동네 학군 괜찮아요. 지금 사시는 곳에서 적합한 공립학교에 보내세요. 아마 아이들을 위해서 ESL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program도 잘 되어 있고 같은 동네에 사는 아이들과 친구하기도 좋을 거에요.” 그러면서 이 지역에 있는 여러 초, 중, 고 공립학교 들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 주었습니다. 근데, 이야기를 한 참 듣고 계시던 한 40대 초반 자매님께서 “에구, 무슨 공립학교야? 이왕 미국까지 왔는데 …… 공립학교는 학문적으로 수준이 너무 낮아. 그리고 워낙 못 사는 애들을 비롯해서 가정환경이 안 좋은 애들도 많이 있기 때문에 정서적으로 안 좋아. 더군다나 좋은 대학 보내려면 어렸을 때 부터 college prep school을 보내서 기초를 튼튼히 해 주어야 좋은 대학 가서 훌륭한 사람 되고 부모들이 이민 와서 고생한 보람 있지. 또, 대부분 이런 사립학교 들은 성경 공부도 시키기 때문에 기독교적인 가치관을 심어 줄 수가 있어서 아주 좋다고. 그러니까 돈이 좀 들어도 사립학교 보내. 알았어?”


유난히 한국인들은 그 어느 민족들 보다 교육열이 높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정규 수업 이외에 어려 서부터 비싼 사교육비를 들여 아이들을 입시 위주의 교육을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입시 경쟁이 그렇게 치열하지 않는 미국에 있는 한인들 역시 이와 똑같은 현실임을 발견합니다. 미국은 초, 중, 고 공립학교가 무료인데 비해서 사립학교는 대학등록금 만큼이나 학비가 비싸고 장학제도나 어떤 특혜도 다양하지 않습니다. 그런데, 사립학교를 선호하고 특히 college prep school을 선호하는 이유 중에 하나는 첫째, 사립학교는 높은 학문적인 수준과 대학 진학 시험인 SAT (Scholastic Aptitude Test)나 ACT (American College Test)를 위주로 공부를 시키고 둘째, 사립학교에 오는 아이들은 부유한 가정의 아이들로 오로지 대학 진학을 목표하는 아이들만 있기 때문에 많은 한인 부모들은 제정적인 여건이 허락되지 않아도 어떻게 해서든 자녀들을 사립학교에서 교육시키고 싶어합니다.


물론 그들의 의견에 저도 처음에는 많이 동의 했고 나중에 저 역시 가정을 이루어 자녀가 있으면 그래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지난 5년 동안 공립학교에서 교직생활을 해 보고 또 이번 코스타 2003을 다녀와서 저의 생각은 아주 많이 바뀌었습니다. 공립학교, 특히, 미국의 공립학교는 미국 사회와 문화를 배우는 좋은 공간이라고 생각합니다. 한국처럼 단일 민족국가가 아닌 여러 이민자들에 의해서 이루어진 다민족 국가를 이루고 있는 미국의 사회와 문화는 참으로 다양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더군다나 제가 살고 있는 조지아는 아직도 미국 남부의 전통을 그대로 갖추고 있어서 남부 사람들의 훈훈한 인정미Southern Hospitality를 쉽게 느낄 수가 있습니다.


사회적으로나 경제적으로 부유한 계층에 있는 사람들 보다는 중산층 혹은 그 보다 못한 사람들의 자녀들이 많고 그렇다 보니 결손 가정이나 마약 및 알코올 중독, 그리고 범죄적인 가정환경에서 자란 아이들도 있을 수 있고 대학 진학 목표 보다는 기술 교육을 받아 취업 일선으로 가는 아이들도 있으면 또 일반적인 교육 자체도 제대로 따라오지 못 해서 고등학교도 제대로 마치지 못해 GED (General Educational Diploma)을 받는 학생들도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인 장애를 가진 특수 교육을 받는 아이들이 있기도 합니다. 사회학자인 밴더라 (Bandera)는 아이들은 다른 사람들의 행동을 보면서 그 행동을 무의식적으로 따라 하고 배우려는 경향이 있다고 그의 학설에서 이야기하는데 많은 부모님들이 이런 이유로 사립학교를 선호할 수도 잇습니다. 물론 충분히 이해가 되는 말인데, 한 번 이렇게 생각을 해 보았으면 합니다.


학교 교육은 단지 학문적인 교육만이 이루어 지는 공간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한국의 주입식, 입시 위주의 교육에 비해서 미국의 교육은 전인 교육이고 그러다 보니 다양한 행동 수정 (Behavior Management) 방법과 가르치는 방법 (Teaching method)이 매우 창의적이고 학교에 가서 공부를 하고 다른 친구들과 어울림으로써 사회 생활의 기초를 배운다고 생각합니다. 즉, 학교는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의 한 작은 사회라고 볼 수가 있는데, 우리들이 지금 살고 있는 이 사회는 다양한 문화와 생각들을 가진 사람들이 모여 살아가고 있고, 그렇다 보니 여러 가지로 복잡하게 얽힌 사회적인 이슈들이 존재하는 것은 당연합니다.


그런데, 이렇게 커다란 사회에 좀 더 잘 적응하고 살아가려면 어려서부터 올바른 훈련이 필요하고 그런 훈련의 장소는 공립학교 입니다. 사립학교는 어떤 특정한 사회 계층의 학부모님들과 아이들이 모여 추구하는 목적의식이 거의 비슷하나 공립학교는 그렇지 않기 때문입니다. 아이들이 성장하면서 다양한 사회 계층의 아이들과 어울림으로써 자신의 환경에 대해 감사하는 마음도 가질 수 있고 또 세상의 그릇된 환경을 보면서 그것이 옳지 못함을 판단하고 자기의 자아와 정체성을 발견하여 살아가는 방법을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을 합니다.


이번 코스타 2003의 주제 말씀인 마태 복음 10장 16절을 묵상해 봅니다. “보라 내가 너희를 보냄이 양을 이리 가운데 보냄과 같도다. 그러므로 너희는 뱀 같이 지혜롭고 비둘기 같이 순결 하라” 우리의 아이들이 속해 있는 대부분의 미국 공립학교가 갖고 있는 조건들은 이리들이 우글거리는 거짓과 그릇된 모습들만 갖춘 환경에 비유할 수 있는데, 이런 악조건 속에서도 아이들은 지혜롭고 순결함에 대해 “학교”라는 작은 울타리 속에서의 훈련이 필요합니다. 물론 세상 속에 순결한 아이들로 키우기 위해서는 아이들의 판단력이 흐린 이유로 교사나 학부모님들의 정성어린 노력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학교, 학부모, 교사가 한 마음이 되어서 사랑으로 아이들을 섬길 때 그들은 이 험악한 세상에서의 삶을 지혜롭게 개척해 나갈 수 있고 그런 독립심과 자립심을 키워주기 위해서는 어떤 한 사회 계층이 모인 장소 보다는 조그만 사회의 한 파트에서의 생활이 현명하지 않을까요?

[차문희] 가족 요법 (Family Therapy-2): Psycho-Educational Family Therapy

기독교사 리포트


가족 요법 (Family Therapy-2):


Psycho-Educational Family Therapy


지난 달에 이어 이번 달 이코스타에서는 제가 가르치는 학생들과 학부모님들을 위해서 직접적으로나 간접적으로 사용하는 치료 방법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장애 학생들의 부모님들과 아이의 교육 문제에 대해서 상담을 하다 보면 한결 같은 말씀들을 하십니다. “도대체 우리 아이에게 왜 이런 장애가 생겼는지 알 수가 없어요. 제대로 가르치려고 아이가 어렸을 때부터 책도 많이 읽어 주고 아이와 대화도 많이 했는데, 왜 우리 아이에게 장애가 생겼는지… 내가 아무래도 전생에 죄가 많아서 그런가 봐요. 우리 가족들이 무언가 죄를 짓고 있기 때문에 우리 아이가 대신 죄 값을 치루는 것 같아요.” 대부분의 부모님들은 아이가 갖고 있는 장애는 가족들의 잘못으로 인해서 생긴 것이고 아이는 그 죄 값을 치루는 희생양이라고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오랫동안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인 질병을 앓고 있는 사람이 가족 중에 있을 때 가족들은 그 질병의 원인은 하나님으로 받은 죄의 삯, 혹은 흔히 가족들의 잘못으로 생각해 왔습니다. 이런 그릇된 고정 관념을 조금이나마 바꾸고자 생긴 가족 치료 요법의 하나가 Psycho-educational Family Therapy입니다. 현대적 가족 요법 (Post Modern Family Therapy)에 속하는 Psycho-educational Family Therapy는 단어 그대로 ‘psycho+Educational’ 즉, 정신질환을 갖고 있는 사람들에 대한 교육이라는 뜻으로 일반인들에게 그들이 갖고 있는 질병의 원인을 분석하고 그 병으로 인한 현재의 상태를 이해하며 앞으로의 해결책에 대한 지식을 배우게 된다는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근본적으로 병을 앓고 있는 환자들의 가족들은 대부분 의사에게 모든 것을 의지하고 환자의 정서적인 면에 무관심 하기 쉬우나 이 치료 요법은 가족 구성원 한 사람 한 사람이 환자의 치유에 함께 관심을 가지기 때문에 일반적인 정신과 치료의 부족함을 메울 수 있습니다. 또한 이 가족요법을 통해서 그 질병이 생긴 원인이 그 어느 누구의 잘못도 아님을 스스로 깨닫기도 하고, 병을 앓고 있는 환자를 돕는 일을 통해서 섬김의 자세를 배우게 되기도 합니다. 한편, 병을 앓고 있는 환자는 자신이 혼자가 아니라 자신의 병을 이해하는 가족들 덕분에 따뜻한 가족의 사랑을 받을 수 있으며 정서적으로 안정될 수가 있습니다. 결국, 질병은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으며 가족들의 역할이 의사의 역할 만큼 중요하고 가족들은 긍정적인 시각에서 이를 받아들여 해결책을 찾는데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Psycho-educational Family Therapy는 강조합니다.


가족 요법은 우리 기독교 세계관에 비추어 볼 때 매우 유사한 점들을 지니고 있습니다. 첫째, 우리의 삶 속에서의 고통(질병, 장애, 고난)의 문제는 누구의 잘못으로 생기는 것이 아닙니다. 하나님께서 모든 삶을 주관하고 계시기 때문입니다. 요한 복음 9장에 보면 날 때부터 맹인 된 사람을 고치시는 예수님의 이야기가 나오는데, 그 당시 사람들은 그가 맹인으로 태어난 것이 누구의 잘못인 지를 따지자, 예수님께서는 “이 사람이나 부모가 죄를 범한 것이 아니라 그에게서 하나님이 하시는 일을 나타내고자 하심 이니라” 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즉, 장애(질병)를 통해 하나님께서는 이루시고자 하는 계획이 있고 그 계획을 통해서 하나님의 영광을 나타내고자 하십니다.


둘째, 어떤 장애(질병)를 긍정적으로 바라보니 Psycho-educational Family Therapy의 또 다른 특징 중에 하나가 서로를 위한 섬김의 자세라고 볼 수 있습니다. 구약 성경에 나오는 룻 (Ruth)과 나오미의 예화를 보면 흉년이 들어 여러 가지 어려운 환경 속에서 남편과 두 아들을 잃고 살아가는 시어머니인 나오미는 언제나 그녀와 함께 하려는 며느리 룻을 통해서 어려움 속에서도 다른 사람을 배려하는 모습을 엿 볼 수 있습니다.


자, 그럼 이 가족 치료 요법을 장애인 가족들에게 한 번 적용해 봅시다. 장애아이를 둔 가족들은 그 아이의 장애가 자신의 잘못이라고 생각하는 죄책감 때문에 늘 고민과 근심 속에서 그늘진 얼굴로 살아왔습니다. 하지만 psycho-educational Family therapy를 적용했을 때 상황은 매우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다운 증후군 (Down Syndrome)을 가진 장애 아이가 있다고 가정해 봅시다. 그 아이의 가족들은 왜 우리 아이가 다운 증후군이라는 장애를 가졌는지에 대해 누구의 잘못을 따지기 보다는 다운 증후군의 정의와 특징, 그리고 다운 증후군 성장 발달 과정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먼저 필요 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다운 증후군이라는 장애를 갖고도 어떻게 하면 이 사회에서 잘 적응하면서 살아갈 수 있는지, 가족이라는 작은 공동체 사회에서 다운 증후군 아이를 둔 부모님과 그의 형제 자매들의 역할에 대해서 전문적인 지식을 배워야 합니다. 그리고 다운 증후군 장애를 가진 가족들을 위한 모임 같은 곳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좀 더 유익한 정보들을 교환하며 사회적인 네트워크도 형성해야 합니다. 이는 다운 증후군이라는 장애를 가진 아이를 위해서 만이 아니라 그 가족 전체를 위한 사랑의 표현이기 때문입니다. 결국, 다운 증후군이라는 장애 아이는 가족들의 관심과 보살핌 속에서 사랑을 먹고 자라게 되고 그렇지 못한 환경에서 자란 아이보다 정서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안정된 생활을 할 수가 있겠지요.


서로의 문제점에 대해 불평하고 원망하기 보다는 그 문제점을 이해하고 배우려는 자세에서 시작되는 이 가족 치료 방법을 통해서 장애나 오랜 질병을 앓고 있는 가족들에게 오히려 그 문제점들은 사랑의 열매를 맺는 씨앗이라고 볼 수가 있지 않을까요?   


우리가 알거니와 하나님을 사랑하는 자 곧 그 뜻대로 부르심을 입은 자들에게는 모든 것이 협력하여 선을 이루느니라. “ 로마서 8장 28절

[차문희] 가족 요법 (Family Therapy-2): Psycho-Educational Family Therapy

이코스타 2003년 6/7월호

지난 달에 이어 이번 달 이코스타에서는 제가 가르치는 학생들과 학부모님들을 위해서 직접적으로나 간접적으로 사용하는 치료 방법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장애 학생들의 부모님들과 아이의 교육 문제에 대해서 상담을 하다 보면 한결 같은 말씀들을 하십니다. “도대체 우리 아이에게 왜 이런 장애가 생겼는지 알 수가 없어요. 제대로 가르치려고 아이가 어렸을 때부터 책도 많이 읽어 주고 아이와 대화도 많이 했는데, 왜 우리 아이에게 장애가 생겼는지… 내가 아무래도 전생에 죄가 많아서 그런가 봐요. 우리 가족들이 무언가 죄를 짓고 있기 때문에 우리 아이가 대신 죄 값을 치루는 것 같아요.” 대부분의 부모님들은 아이가 갖고 있는 장애는 가족들의 잘못으로 인해서 생긴 것이고 아이는 그 죄 값을 치루는 희생양이라고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오랫동안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인 질병을 앓고 있는 사람이 가족 중에 있을 때 가족들은 그 질병의 원인은 하나님으로 받은 죄의 삯, 혹은 흔히 가족들의 잘못으로 생각해 왔습니다. 이런 그릇된 고정 관념을 조금이나마 바꾸고자 생긴 가족 치료 요법의 하나가 Psycho-educational Family Therapy입니다. 현대적 가족 요법 (Post Modern Family Therapy)에 속하는 Psycho-educational Family Therapy는 단어 그대로 ‘psycho+Educational’ 즉, 정신질환을 갖고 있는 사람들에 대한 교육이라는 뜻으로 일반인들에게 그들이 갖고 있는 질병의 원인을 분석하고 그 병으로 인한 현재의 상태를 이해하며 앞으로의 해결책에 대한 지식을 배우게 된다는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근본적으로 병을 앓고 있는 환자들의 가족들은 대부분 의사에게 모든 것을 의지하고 환자의 정서적인 면에 무관심 하기 쉬우나 이 치료 요법은 가족 구성원 한 사람 한 사람이 환자의 치유에 함께 관심을 가지기 때문에 일반적인 정신과 치료의 부족함을 메울 수 있습니다. 또한 이 가족요법을 통해서 그 질병이 생긴 원인이 그 어느 누구의 잘못도 아님을 스스로 깨닫기도 하고, 병을 앓고 있는 환자를 돕는 일을 통해서 섬김의 자세를 배우게 되기도 합니다. 한편, 병을 앓고 있는 환자는 자신이 혼자가 아니라 자신의 병을 이해하는 가족들 덕분에 따뜻한 가족의 사랑을 받을 수 있으며 정서적으로 안정될 수가 있습니다. 결국, 질병은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으며 가족들의 역할이 의사의 역할 만큼 중요하고 가족들은 긍정적인 시각에서 이를 받아들여 해결책을 찾는데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Psycho-educational Family Therapy는 강조합니다.


가족 요법은 우리 기독교 세계관에 비추어 볼 때 매우 유사한 점들을 지니고 있습니다. 첫째, 우리의 삶 속에서의 고통(질병, 장애, 고난)의 문제는 누구의 잘못으로 생기는 것이 아닙니다. 하나님께서 모든 삶을 주관하고 계시기 때문입니다. 요한 복음 9장에 보면 날 때부터 맹인 된 사람을 고치시는 예수님의 이야기가 나오는데, 그 당시 사람들은 그가 맹인으로 태어난 것이 누구의 잘못인 지를 따지자, 예수님께서는 “이 사람이나 부모가 죄를 범한 것이 아니라 그에게서 하나님이 하시는 일을 나타내고자 하심 이니라” 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즉, 장애(질병)를 통해 하나님께서는 이루시고자 하는 계획이 있고 그 계획을 통해서 하나님의 영광을 나타내고자 하십니다.


둘째, 어떤 장애(질병)를 긍정적으로 바라보니 Psycho-educational Family Therapy의 또 다른 특징 중에 하나가 서로를 위한 섬김의 자세라고 볼 수 있습니다. 구약 성경에 나오는 룻 (Ruth)과 나오미의 예화를 보면 흉년이 들어 여러 가지 어려운 환경 속에서 남편과 두 아들을 잃고 살아가는 시어머니인 나오미는 언제나 그녀와 함께 하려는 며느리 룻을 통해서 어려움 속에서도 다른 사람을 배려하는 모습을 엿 볼 수 있습니다.


자, 그럼 이 가족 치료 요법을 장애인 가족들에게 한 번 적용해 봅시다. 장애아이를 둔 가족들은 그 아이의 장애가 자신의 잘못이라고 생각하는 죄책감 때문에 늘 고민과 근심 속에서 그늘진 얼굴로 살아왔습니다. 하지만 psycho-educational Family therapy를 적용했을 때 상황은 매우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다운 증후군 (Down Syndrome)을 가진 장애 아이가 있다고 가정해 봅시다. 그 아이의 가족들은 왜 우리 아이가 다운 증후군이라는 장애를 가졌는지에 대해 누구의 잘못을 따지기 보다는 다운 증후군의 정의와 특징, 그리고 다운 증후군 성장 발달 과정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먼저 필요 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다운 증후군이라는 장애를 갖고도 어떻게 하면 이 사회에서 잘 적응하면서 살아갈 수 있는지, 가족이라는 작은 공동체 사회에서 다운 증후군 아이를 둔 부모님과 그의 형제 자매들의 역할에 대해서 전문적인 지식을 배워야 합니다. 그리고 다운 증후군 장애를 가진 가족들을 위한 모임 같은 곳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좀 더 유익한 정보들을 교환하며 사회적인 네트워크도 형성해야 합니다. 이는 다운 증후군이라는 장애를 가진 아이를 위해서 만이 아니라 그 가족 전체를 위한 사랑의 표현이기 때문입니다. 결국, 다운 증후군이라는 장애 아이는 가족들의 관심과 보살핌 속에서 사랑을 먹고 자라게 되고 그렇지 못한 환경에서 자란 아이보다 정서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안정된 생활을 할 수가 있겠지요.


서로의 문제점에 대해 불평하고 원망하기 보다는 그 문제점을 이해하고 배우려는 자세에서 시작되는 이 가족 치료 방법을 통해서 장애나 오랜 질병을 앓고 있는 가족들에게 오히려 그 문제점들은 사랑의 열매를 맺는 씨앗이라고 볼 수가 있지 않을까요?   


우리가 알거니와 하나님을 사랑하는 자 곧 그 뜻대로 부르심을 입은 자들에게는 모든 것이 협력하여 선을 이루느니라. “ 로마서 8장 28절

[차문희] 가족 요법 (Family Therapy): Caring Heart for Others

기독교사 리포트


가족 요법 (Family Therapy): Caring Heart for Others


처음 미국에 와서 도저히 이해 되지 않고, 문화적 충격 이었던 것이 있다면 도덕과 윤리가 무너진 미국의 가정 생활이었습니다. 제가 학교 생활을 하는 동안 주위에 있는 친구들만 보아도 원만한 가정-양쪽 부모님이 계신-에서 자란 친구들 보다는 기독교인들임에도 불구하고 부모님들이 이혼하여 편 부모와 함께 혹은 친척들이나 조 부모님들과 함께 여러 가지 눈에 보이는, 또는 보이지 않는 갈등을 겪어 가면서 사는 친구들이 더 많았던 기억이 납니다. 학교에서 아이들을 가르치면서 보아도 제 클래스의 90%의 아이들은 결손 가정의 아이들이 대 부분이고, 부모님의 사랑과 보살핌 속에서 자란 아이들 보다는 결핍과 학대로 상처 받은 아이들이 더 많이 있다 보니, 그 아이들은 누군가의 관심을 끌기 위한 행동을 합니다. 몇 가지 예를 들면, 저의 학급에 D라는 학생이 있는데, 그 아이는 매일 아침에 저를 보면 얼마 전 심장 마비로 세상을 떠난 Mr. Roger가 그의 TV 프로그램 Mr. Roger’s neighborhood에서 부르던 노래 한 곡을 부릅니다.

It’s a beautiful day in this neighborhood,
A beautiful day for a neighbor.
Would you be mine?
Could you be mine?

It’s a neighborly day in this beauty wood,
A neighborly day for a beauty.
Would you be mine?
Could you be mine?


I’ve always wanted to have a neighbor just like you.
I’ve always wanted to live in a neighborhood with you.


So, let’s make the most of this beautiful day.
Since we’re together we might as well say:
Would you be mine?
Could you be mine?
Won’t you be my neighbor?
Won’t you please,
Won’t you please?
Please won’t you be my neighbor?


D라는 학생은 이 노래를 저에게 와서 부를 때 “Would you be mine? Could you be mine? Please won’t you be my neighbor” 이라는 가사 중 ‘mine’ 이나 ‘neighbor’ 라는 단어 대신 ‘mother’ 이라는 단어로 바꾸어 부릅니다. “Would you be my mother? Could you be my mother? Please won’t you be my mother?” 이렇게 말입니다. 처음에 그가 이 노래를 부를 때 저는 너무 재미 있어서 그냥 웃어 넘겼습니다. 그리고, 그가 자기의 엄마가 될 수 있겠냐는 질문을 할 때에도 계속 웃고만 있었더니, 제가 대답을 안 하면 계속 노래만 할 거라고 하여 결국은 “Yes”라고 대답 했답니다.


그 아이의 아빠는 감옥에 가 있고, 혼자서 두 남매를 키우면서 사는 엄마는 생계 유지에 허덕이다 보니 아이들과 함께 할 시간적인 여유 조차 없다고 합니다. 하지만, 그의 그런 가정 환경 뿐만 아니라 그에게 기대하는 엄마의 생각에 저는 더욱 놀랐습니다. 그의 엄마는 아들인 D가 워낙 학교에서 문제만 일으키는 정서 장애 아동이다 보니 아예 포기하고 이미 초등 학교 2학년 때부터 정신 병원에서 치료를 받았음에도 불구 하고 나이가 어느 정도 차면 소년원에 보낼 생각만 하고 있었습니다. 사실 그의 학습적인 면을 보면 그렇게 장애를 가진 아이라고는 할 수 없는데 그의 원만하지 못한 가정 생활로 인해 그가 정서 장애 아동이 된 것이 안타까울 따름입니다.


또 한 몇 달 전에 이코스타에서 소개한 알코올 중독 엄마의 가출로 다른 엄마를 필요로 하는 B 라는 어린이는 한 동안 새 엄마가 있었으나 학대와 구타를 당해서 힘들어 했습니다. 결국 싱글 인 저에게 자기 아빠와 결혼하라는 제안을 하기도 했답니다. 제가 보기에 청교도 정신에 세워진 기독교 국가라는 미국의 가정은 너무나 많은 질병을 앓고 있습니다. 급격하게 증가하는 이혼율, 알코올과 마약 사용의 증가, 타락한 성 문화, 10대의 임신, 동성 연애 등등은 한 가정 문제가 아닌 우리 사회 곳곳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이 런 가정 문제와 사회 문제를 해결하고자 태어난 학문이 바로 가족 요법 (Family Therapy)입니다. 사회의 기본이 되고 모범이 되어야 할 가정의 무너짐은 우리들에게 많은 갈등과 문제들을 가져와 생활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는데, 문제 해결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상담 (counseling)에 비해 가족 요법은 그 문제를 좀 더 폭 넓게 이해하고 함께 연구하려는 관점에서 치료 (Therapy)를 시작 합니다. 1950년대에 새로이 태어난 가족 요법이라는 학문은 그 역사도 짧은 반면 현대 사회에 꼭 필요한 학문으로서 많은 관심을 얻고 있습니다. 사회학, 심리학, 교육학, 철학 등의 다양한 학문들이 합쳐 져서 이루어진 가족 요법은 가족 서로간에 갖고 있는 문제를 이해하고 도울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관점에서 바라보면 사회 복지 (Social work/ Social welfare)에 가까울 수 있겠고 문제를 이해하고 도움을 찾았을 때 정신적으로 안정된 삶을 살 수 있다는 관점에서 보면 정신 의학 (Psychiatric medicine) 에도 가깝습니다. 그래서 가족 요법이 사회 복지 대학 내에 있는 학교도 있고 의과 대학 내에 있는 학교도 있으며 심지어 많은 신학교에서도 기독교 상담 학을 하면서 가정 사역에 관심 있는 목회자들에게 가족 요법(Family therapy) 자격증을 취득 할 수 있는 프로그램도 있습니다.


그럼 이 가족 요법을 이해하기 위한 기본 자세는 무엇이어야 할까요? 저는 가족 요법의 기본 적인 개념과 우리 기독교 세계관이 많은 유사한 점을 지니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첫째, 가족 요법을 통해서 우리들은 우리 자신을 있는 그대로 받아 들이다 보니 .(Accept yourself the way you are.) 우리에게 처한 환경을 현실 그대로 받아 들인다. (Accept your situation the way it is)


만 약 우리 자신과 처한 환경을 부인하는 것은 어떤 문제와 갈등이 있을 때 다른 사람을 이해하는데 별로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모든 가족 요법 치료사들은 우리 한 사람 한 사람을 소중하게 생각 하기 때문에 각자가 다른 환경에서 자라 다른 성격을 가지고 살아간다 하더라도 기쁜 일이건 슬픈 일이건 그 현실을 있는 그대로 받아 들이라고 강조합니다. 성경에서 나오는 감옥살이를 한 요셉의 삶을 보면, 자신의 형제들로부터 시기와 질투 속에서 미움을 받고 결국 노예로 팔려가 수 많은 고통을 겪으면서 살아 갔지만 그의 현실을 비관 하지 않고 언제나 꿈을 갖고 그 꿈을 현실화 하는데 노력했습니다. 결국 자신의 꿈이 이루어 진 이후에도 요셉은 형제간의 우애를 변치 않으며 살아가는 것을 볼 때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어진 우리 크리스천들도 요셉 처럼 자신에게 처한 고난과 아픔 까지도 긍정적으로 받아들일 필요가 있습니다.


둘째, 가족 요법을 통해서 우리들은 다른 사람과 그들의 아픔을 이해하려고 합니다. (Understanding others and their life situation)


우리의 이기적인 생각에서인지는 모르겠지만 우리들은 언제나 다른 사람들이 나를 먼저 이해해 주기를 바라고 어떤 문제가 생겼을 때 다른 사람의 환경을 먼저 생각하기 보다는 내 자신의 관점에서 바라보면서 자신을 합리화 시키려는 경향이 있는데 가족 요법 치료사들은 심리극 (psychodrama)과 같은 방법들을 도입해서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는 것에 앞서 다른 사람들의 문제를 이해 시키는 역할을 먼저 합니다. 오늘날 기독교가 다른 종교와 가장 큰 다른 점이 있다면 기독교는 예수 그리스도의 다른 사람들에 대한 순결한 섬김을 통해서, 특히 자신의 생명을 아끼지 않으면서 온 인류의 영혼 구원까지 책임지신 그의 헌신적인 섬김을 통해 우리는 그가 얼마나 남을 사랑으로 섬겼는지 알 수 있습니다. 결국 예수님께서는 다른 사람들의 아픔을 잘 이해해 주시는 첫 번째 role model이 되었다고 볼 수가 있습니다.


셋째, 다른 사람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들이 각자 자라온 환경, 즉 다양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Understanding of diversity)


가족 요법 치료사들은 사람들의 자라온 환경을 비롯해서 사회적 문화적 차이를 이해할 때 그들의 문제점과 갈등해소 방법을 찾게 된다고 합니다. 결국 우리가 얼마나 상대방을 향해 마음의 문이 열려 있고 그들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려고 하는 그 과정에서 치료는 시작된다고 보는데 예수님께서도 어떤 문제들을 갖고 찾아 오는 분들을 위해 그들의 편에 서서 그들을 받아 들이시고 치유하셨습니다. 다시 말해서 다양성의 이해는 다른 사람에 대해서 열린 마음 (Open mind)을 갖는 것과 같습니다.


위에서 이야기한 3가지의 내용들을 가정이라는 작은 공동체에 적용해 봅시다. 각각 다른 환경에서 자란 남자와 여자가 부모님을 떠나서 한 몸을 이루어 한 지붕아래 살아갈 때, 자기 자신의 장점과 단점을 제대로 알지 못 하고 자신에게 처해 있는 현실 (고난 혹은 어려움을 의미함)의 이해가 부족하다면 상대방 (배우자, 자녀, 가족 구성원 모두)을 마음의 문을 열고 받아들일 수 있을까요? 생물학적으로 다를 뿐만 아니라 사회적 문화적으로 달리 성장한 사람들이 모여서 하나의 공동체를 이루면서 살아갈 때에는 반드시 어떤 문제를 갖고 살아가고 그 문제 해결 방법에 따라 여러 가지의 가족 관계 형태 (different structure of the family)가 나타난다고 합니다.


가 족 요법은 크게 근대적 가족 요법 (modern family therapy)과 현대적 가족 요법 (post modern family therapy) 으로 나누어 지고 이 두 가지 요법 안에는 대략 15개 정도의 요법들이 있어서 사람들이 갖고 있는 문제들과 처한 환경에 따라 치료 방법 또한 달라지게 됩니다. 그러나 이러한 요법들이 사용되기 전 가장 중요한 것은 “다른 사람에 대한 마음 (Caring Heart for Others)” 입니다. 지금까지는 가족 요법의 이모저모를 살펴 보았는데 다음 달 이코스타에서는 여러 가지의 가족 요법들 중에 제가 직접적으로나 간접적으로 아이들과 학부모님들을 위해서 사용하는 방법들을 소개할 까 합니다. (다음 호에 계속)

[차문희] 가족 요법 (Family Therapy): Caring Heart for Others

이코스타 2003년 5월호

처음 미국에 와서 도저히 이해 되지 않고, 문화적 충격 이었던 것이 있다면 도덕과 윤리가 무너진 미국의 가정 생활이었습니다. 제가 학교 생활을 하는 동안 주위에 있는 친구들만 보아도 원만한 가정-양쪽 부모님이 계신-에서 자란 친구들 보다는 기독교인들임에도 불구하고 부모님들이 이혼하여 편 부모와 함께 혹은 친척들이나 조 부모님들과 함께 여러 가지 눈에 보이는, 또는 보이지 않는 갈등을 겪어 가면서 사는 친구들이 더 많았던 기억이 납니다. 학교에서 아이들을 가르치면서 보아도 제 클래스의 90%의 아이들은 결손 가정의 아이들이 대 부분이고, 부모님의 사랑과 보살핌 속에서 자란 아이들 보다는 결핍과 학대로 상처 받은 아이들이 더 많이 있다 보니, 그 아이들은 누군가의 관심을 끌기 위한 행동을 합니다. 몇 가지 예를 들면, 저의 학급에 D라는 학생이 있는데, 그 아이는 매일 아침에 저를 보면 얼마 전 심장 마비로 세상을 떠난 Mr. Roger가 그의 TV 프로그램 Mr. Roger’s neighborhood에서 부르던 노래 한 곡을 부릅니다.

It’s a beautiful day in this neighborhood,
A beautiful day for a neighbor.
Would you be mine?
Could you be mine?

It’s a neighborly day in this beauty wood,
A neighborly day for a beauty.
Would you be mine?
Could you be mine?

I’ve always wanted to have a neighbor just like you.
I’ve always wanted to live in a neighborhood with you.

So, let’s make the most of this beautiful day.
Since we’re together we might as well say:
Would you be mine?
Could you be mine?
Won’t you be my neighbor?
Won’t you please,
Won’t you please?
Please won’t you be my neighbor?

D라는 학생은 이 노래를 저에게 와서 부를 때 “Would you be mine? Could you be mine? Please won’t you be my neighbor” 이라는 가사 중 ‘mine’ 이나 ‘neighbor’ 라는 단어 대신 ‘mother’ 이라는 단어로 바꾸어 부릅니다. “Would you be my mother? Could you be my mother? Please won’t you be my mother?” 이렇게 말입니다. 처음에 그가 이 노래를 부를 때 저는 너무 재미 있어서 그냥 웃어 넘겼습니다. 그리고, 그가 자기의 엄마가 될 수 있겠냐는 질문을 할 때에도 계속 웃고만 있었더니, 제가 대답을 안 하면 계속 노래만 할 거라고 하여 결국은 “Yes”라고 대답 했답니다.


그 아이의 아빠는 감옥에 가 있고, 혼자서 두 남매를 키우면서 사는 엄마는 생계 유지에 허덕이다 보니 아이들과 함께 할 시간적인 여유 조차 없다고 합니다. 하지만, 그의 그런 가정 환경 뿐만 아니라 그에게 기대하는 엄마의 생각에 저는 더욱 놀랐습니다. 그의 엄마는 아들인 D가 워낙 학교에서 문제만 일으키는 정서 장애 아동이다 보니 아예 포기하고 이미 초등 학교 2학년 때부터 정신 병원에서 치료를 받았음에도 불구 하고 나이가 어느 정도 차면 소년원에 보낼 생각만 하고 있었습니다. 사실 그의 학습적인 면을 보면 그렇게 장애를 가진 아이라고는 할 수 없는데 그의 원만하지 못한 가정 생활로 인해 그가 정서 장애 아동이 된 것이 안타까울 따름입니다.


또한 몇 달 전에 이코스타에서 소개한 알코올 중독 엄마의 가출로 다른 엄마를 필요로 하는 B 라는 어린이는 한 동안 새 엄마가 있었으나 학대와 구타를 당해서 힘들어 했습니다. 결국 싱글 인 저에게 자기 아빠와 결혼하라는 제안을 하기도 했답니다. 제가 보기에 청교도 정신에 세워진 기독교 국가라는 미국의 가정은 너무나 많은 질병을 앓고 있습니다. 급격하게 증가하는 이혼율, 알코올과 마약 사용의 증가, 타락한 성 문화, 10대의 임신, 동성 연애 등등은 한 가정 문제가 아닌 우리 사회 곳곳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이런 가정 문제와 사회 문제를 해결하고자 태어난 학문이 바로 가족 요법 (Family Therapy)입니다. 사회의 기본이 되고 모범이 되어야 할 가정의 무너짐은 우리들에게 많은 갈등과 문제들을 가져와 생활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는데, 문제 해결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상담 (counseling)에 비해 가족 요법은 그 문제를 좀 더 폭 넓게 이해하고 함께 연구하려는 관점에서 치료 (Therapy)를 시작 합니다. 1950년대에 새로이 태어난 가족 요법이라는 학문은 그 역사도 짧은 반면 현대 사회에 꼭 필요한 학문으로서 많은 관심을 얻고 있습니다. 사회학, 심리학, 교육학, 철학 등의 다양한 학문들이 합쳐 져서 이루어진 가족 요법은 가족 서로간에 갖고 있는 문제를 이해하고 도울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관점에서 바라보면 사회 복지 (Social work/ Social welfare)에 가까울 수 있겠고 문제를 이해하고 도움을 찾았을 때 정신적으로 안정된 삶을 살 수 있다는 관점에서 보면 정신 의학 (Psychiatric medicine) 에도 가깝습니다. 그래서 가족 요법이 사회 복지 대학 내에 있는 학교도 있고 의과 대학 내에 있는 학교도 있으며 심지어 많은 신학교에서도 기독교 상담 학을 하면서 가정 사역에 관심 있는 목회자들에게 가족 요법(Family therapy) 자격증을 취득 할 수 있는 프로그램도 있습니다.


그럼 이 가족 요법을 이해하기 위한 기본 자세는 무엇이어야 할까요? 저는 가족 요법의 기본 적인 개념과 우리 기독교 세계관이 많은 유사한 점을 지니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첫째, 가족 요법을 통해서 우리들은 우리 자신을 있는 그대로 받아 들이다 보니 .(Accept yourself the way you are.) 우리에게 처한 환경을 현실 그대로 받아 들인다. (Accept your situation the way it is)


만약 우리 자신과 처한 환경을 부인하는 것은 어떤 문제와 갈등이 있을 때 다른 사람을 이해하는데 별로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모든 가족 요법 치료사들은 우리 한 사람 한 사람을 소중하게 생각 하기 때문에 각자가 다른 환경에서 자라 다른 성격을 가지고 살아간다 하더라도 기쁜 일이건 슬픈 일이건 그 현실을 있는 그대로 받아 들이라고 강조합니다. 성경에서 나오는 감옥살이를 한 요셉의 삶을 보면, 자신의 형제들로부터 시기와 질투 속에서 미움을 받고 결국 노예로 팔려가 수 많은 고통을 겪으면서 살아 갔지만 그의 현실을 비관 하지 않고 언제나 꿈을 갖고 그 꿈을 현실화 하는데 노력했습니다. 결국 자신의 꿈이 이루어 진 이후에도 요셉은 형제간의 우애를 변치 않으며 살아가는 것을 볼 때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어진 우리 크리스천들도 요셉 처럼 자신에게 처한 고난과 아픔 까지도 긍정적으로 받아들일 필요가 있습니다.


둘째, 가족 요법을 통해서 우리들은 다른 사람과 그들의 아픔을 이해하려고 합니다. (Understanding others and their life situation)


우리의 이기적인 생각에서인지는 모르겠지만 우리들은 언제나 다른 사람들이 나를 먼저 이해해 주기를 바라고 어떤 문제가 생겼을 때 다른 사람의 환경을 먼저 생각하기 보다는 내 자신의 관점에서 바라보면서 자신을 합리화 시키려는 경향이 있는데 가족 요법 치료사들은 심리극 (psychodrama)과 같은 방법들을 도입해서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는 것에 앞서 다른 사람들의 문제를 이해 시키는 역할을 먼저 합니다. 오늘날 기독교가 다른 종교와 가장 큰 다른 점이 있다면 기독교는 예수 그리스도의 다른 사람들에 대한 순결한 섬김을 통해서, 특히 자신의 생명을 아끼지 않으면서 온 인류의 영혼 구원까지 책임지신 그의 헌신적인 섬김을 통해 우리는 그가 얼마나 남을 사랑으로 섬겼는지 알 수 있습니다. 결국 예수님께서는 다른 사람들의 아픔을 잘 이해해 주시는 첫 번째 role model이 되었다고 볼 수가 있습니다.


셋째, 다른 사람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들이 각자 자라온 환경, 즉 다양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Understanding of diversity)


가족 요법 치료사들은 사람들의 자라온 환경을 비롯해서 사회적 문화적 차이를 이해할 때 그들의 문제점과 갈등해소 방법을 찾게 된다고 합니다. 결국 우리가 얼마나 상대방을 향해 마음의 문이 열려 있고 그들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려고 하는 그 과정에서 치료는 시작된다고 보는데 예수님께서도 어떤 문제들을 갖고 찾아 오는 분들을 위해 그들의 편에 서서 그들을 받아 들이시고 치유하셨습니다. 다시 말해서 다양성의 이해는 다른 사람에 대해서 열린 마음 (Open mind)을 갖는 것과 같습니다.


위에서 이야기한 3가지의 내용들을 가정이라는 작은 공동체에 적용해 봅시다. 각각 다른 환경에서 자란 남자와 여자가 부모님을 떠나서 한 몸을 이루어 한 지붕아래 살아갈 때, 자기 자신의 장점과 단점을 제대로 알지 못 하고 자신에게 처해 있는 현실 (고난 혹은 어려움을 의미함)의 이해가 부족하다면 상대방 (배우자, 자녀, 가족 구성원 모두)을 마음의 문을 열고 받아들일 수 있을까요? 생물학적으로 다를 뿐만 아니라 사회적 문화적으로 달리 성장한 사람들이 모여서 하나의 공동체를 이루면서 살아갈 때에는 반드시 어떤 문제를 갖고 살아가고 그 문제 해결 방법에 따라 여러 가지의 가족 관계 형태 (different structure of the family)가 나타난다고 합니다.


가족 요법은 크게 근대적 가족 요법 (modern family therapy)과 현대적 가족 요법 (post modern family therapy) 으로 나누어 지고 이 두 가지 요법 안에는 대략 15개 정도의 요법들이 있어서 사람들이 갖고 있는 문제들과 처한 환경에 따라 치료 방법 또한 달라지게 됩니다. 그러나 이러한 요법들이 사용되기 전 가장 중요한 것은 “다른 사람에 대한 마음 (Caring Heart for Others)” 입니다. 지금까지는 가족 요법의 이모저모를 살펴 보았는데 다음 달 이코스타에서는 여러 가지의 가족 요법들 중에 제가 직접적으로나 간접적으로 아이들과 학부모님들을 위해서 사용하는 방법들을 소개할 까 합니다. (다음 호에 계속)

[차문희] 부활절을 앞두고: 희망의 십자가

기독교사 리포트


부활절을 앞두고: 희망의 십자가



고 통 속에 있는 우리를 버려 두지 않으시고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찾아 오신 하나님, 우리의 죄 때문에 십자가에서 고통 당하신 주님, 너희의 고통을 이해 한다고 말씀하시며 다가 오신 주님을 경험한 사람들은 고통의 한 복판에서도 이런 고백을 할 수 있습니다. “하나님, 아파요, 힘들어요, 그렇지만 제가 알아요. 주님이 저를 사랑하시는 걸 제가 믿어요. 저는 다시 일어나요. 일어 날 수 있어요.” (인생 레슨 : 이 동원 목사 지음)


언젠가 교회 목사님께서 이런 말씀을 하신 적이 있습니다. “이 세상에서 문제 없이 살아가는 사람들은 하나도 없습니다. 교회와 사회 생활을 하다 보면 여러 사람들을 접하게 되는데 우리들의 눈에 보기에 그 사람들이 참 행복해 보일 수 가 있습니다. 좋은 직장에 좋은 학벌, 경제적인 여유, 그러다 보니 넉넉하고 윤택한 가정 생활과 직장 생활을 한다고 생각할 것이고 남부럽지 않게 살고 있다며 부러운 시선을 나타냅니다. 물론 그들이 사회적으로 그 자리에 서기까지 그들 나름대로 노력도 많이 했을 것입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그들이 아무런 문제와 고민 없이 세상을 살아가지는 않습니다. 그들도 나름대로 그들 만의 고통과 고민거리들이 있지만 단지 내색하지 않을 뿐 입니다.”


참으로 의미 있는 말씀 입니다. 남 보기에 늘 행복해 보이고 웃고 다니니까 아무런 걱정 근심 없이 사는 것 같지만 그 나름대로 보이건, 보이지 않건 간에 다들 문제들을 갖고 사는 것은 분명한 것 같습니다. 나는 이렇게 눈에 보이는 것들과 또 그렇지 못한 것들을 장애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그리고 우리 모두는 장애인들이고 우리 모두가 그 고통을 이기는 방법 즉 문제 해결에 대한 올바른 자세를 배우는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들은 우리가 왜 고통을 당하고 사는 지 모르기 때문에 괴로워 하고 문제 해결 대책 보다는 그 고통을 피할 길을 찾아 가려고 애를 씁니다.


한 예화로 학교에서 있었던 일을 소개 하려고 합니다. 일반 학급에 있는 K 학생이 학습적인 능력이 떨어지고 행동이 거칠어 지며 정서적으로 불안해 하여 혹 장애가 있는 게 아닌가 해서 테스트를 하게 되었습니다. 여러 가지 학습 태도 보고서, 성적표, 행동 수정 보고서 가정 환경 및 병원 기록 등과 같은 데이터를 모았고 심리 테스트를 거쳐 그 학생이 장애가 있다는 사실이 판정 되었고 특수 교육 프로그램을 추천하기 위한 미팅을 해서 그 학생에게 맞는 교육 프로그램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참고로 이 교육 프로그램을 IEP (individualized Educational Program)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이 미팅에 참석한 K의 부모님들은 무조건 자기 아이는 절대로 장애가 없고 특수 교육 프로그램을 받을 수 없다고 강력하게 나오는 것이었습니다. 그 부모는 또 어떻게 내 아이에게 “장애인” 이라는 label을 붙일 수 있으며, 평생 그가 성장하는 동안에 다른 사람들로부터 따돌림 받을 거라고 불평도 늘어 놓았습니다. 그리고 이 부모는 학교측과 계속 실랑이를 벌이다가 결국은 특수 클래스에 놓겠다고 동의를 했지만 부모의 얼굴에는 만족함 보다는 그늘 진 모습뿐이었습니다. 그런 후, 그 부모는 자신들의 아이가 장애가 있다는 것을 부인하고 자기 자신을 원망하며 또 그 아이가 겪고 있는 고통을 함께 하고 사랑으로 감싸 주기 보다는 무관심과 불평, 그리고 심지어 아이를 구박하고 학대도 했습니다. 이 부모님들은 K를 특수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 시키는 일이 너무 고통스럽고 수치 스러운 일로 알고 있었습니다.


그러면 우리들은 우리에게 시련이 닥쳐 올 때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이 동원 목사님이 쓰신 인생 레슨 이라는 책 에는 첫째, 고통은 하나님의 교육적인 의도의 시험이라고 말씀 하십니다. 결국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시는 이 시험을 통해서 우리의 신앙 생활을 평가 하시는 것입니다. 야고보서 1 장 13절에서는 “시험을 찾는 자는 복이 있도다. 이것에 옳다 인정 하심을 받은 후에 주께서 자기를 사랑하는 자들에게 약속하신 생명의 면류관을 얻을 것임 이니라” 라고 말씀하십니다.


위 에서 이야기한 K의 예화 속에서 그는 이미 그의 장애로 인해서 특수 클래스에서 수업을 받고 있습니다. K의 부모님들은 K가 장애 어린이라는 사실에 동의 하지 않았고 불만족스러운 자세로 아이를 특수 교육에 참여 하겠다고 했기 때문에 K의 학교 생활에 별로 도움을 주지는 못 했습니다. 그에게 장애가 생긴 이유는 그의 잘못도 아니고 부모님의 잘못도 아님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K를 구박하고 학대 했습니다. 그런데, 오직 K만이 세상에서 고난의 십자가-문제와 어려움-를 지고 갈까요? 다른 어린이들과 그의 부모님들 역시 그들 나름대로의 문제와 고민거리들이 있습니다. 저는 그 K라는 장애 아이를 한 가정에 주심으로 해서 분명 하나님의 어떤 숨겨진 뜻이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아마도 주님은 K의 부모님들로 하여금 더 많은 인내, 그리고 희생과 노력에 대해 배우기를 원하셨을 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K를 위해서 전혀 희생과 노력이 없었던 K의 부모님들은 계속적으로 K의 학교와 가정 생활에 무관심을 보였고 가정에서 이어지는 학대는 그에게 더 큰 상처를 주어서 정서 장애 라는 또 다른 장애를 낳게 하고 말았습니다.


우 리가 고통을 현명하게 대처하고 극복하지 못할 때 그 고통은 더 큰 고통을 만들게 됩니다. 반면에 극복한 고통 뒤에는 환희와 기쁨이 있습니다. 이 동원 목사님은 그의 저서 인 “인생 래슨” 애서 고통을 축복의 통로에 비유하시며 고통은 하나님의 복이고 계시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어려움 속에서 하나님을 발견하고 그를 의지함으로써 우리의 믿음도 성숙해 지는 가운데 우리들은 미래에 대한 비전을 갖고 더 큰 일을 해낼 수 있다고 합니다. 만약 K의 부모님들이 K를 위해서 좀 더 희생하고 노력했다면 그의 인생이 많이 달라졌을지도 모릅니다. K가 갖고 있는 고통 (장애) 은 없어지지 않는 십자가라서 K의 부모님들과 K가 함께 노력했다면 그의 십자가는 절망의 십자가가 아닌 자기와 같이 어려운 사람들에게 꿈과 용기를 주는 희망의 십자가로 바뀌었을 지도 모릅니다.


우리의 삶도 마찬가지이겠지요. 지금 어느 곳에서 생활하던지 우리의 어려움에 대해 비관적이거나 낙심하지 말고 잘 대응한다면 우리들이 지닌 고난의 십자가도 희망의 십자가가 될 수 있는 것 아니겠습니까?